
입체시(立體視)가 저하된 노인은 인지기능도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입체시란 두 눈에 맺힌 영상의 미세한 차이를 바탕으로 사물의 거리와 깊이를 인지하는 고차원적인 시각처리 기능이다. 이 기능이 저하되면 거리 감각, 공간 인식, 위치 파악 등에 어려움을 느끼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경희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안과 김기영 교수 연구팀은 노인에서 입체시 저하와 인지기능 저하 간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먼저 한국노인노쇠코호트(KFACS) 데이터에 근거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 1228명을 대상으로 입체시 평가도구인 ‘티트무스 검사’를 시행했다. 검사 결과에 참가자들을 ▲우수(40~60초각) ▲보통(80~200초각) ▲나쁨(200초각 초과)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이후, 그룹별로 언어기억력 평가(단어목록 기억·회상·인식하기), 집중력 평가(숫자 외우기), 처리 속도(기호 잇기), 전두엽 기능 평가 등을 시행해 인지기능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입체시 기능이 낮을수록 다양한 인지영역, 특히 기억력, 실행 인지기능(전두엽 검사), 시공간 탐색 능력(처리 속도 검사) 등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입체시 우수 그룹은 나쁜 그룹 대비 단어목록 기억 검사 점수가 평균 6.82% 높았다. 전두엽 검사 점수는 약 9.7% 높았고, 처리 속도 검사에선 32.4% 더 빨랐다.
경희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안과 김기영 교수 연구팀은 노인에서 입체시 저하와 인지기능 저하 간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먼저 한국노인노쇠코호트(KFACS) 데이터에 근거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 1228명을 대상으로 입체시 평가도구인 ‘티트무스 검사’를 시행했다. 검사 결과에 참가자들을 ▲우수(40~60초각) ▲보통(80~200초각) ▲나쁨(200초각 초과)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이후, 그룹별로 언어기억력 평가(단어목록 기억·회상·인식하기), 집중력 평가(숫자 외우기), 처리 속도(기호 잇기), 전두엽 기능 평가 등을 시행해 인지기능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입체시 기능이 낮을수록 다양한 인지영역, 특히 기억력, 실행 인지기능(전두엽 검사), 시공간 탐색 능력(처리 속도 검사) 등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입체시 우수 그룹은 나쁜 그룹 대비 단어목록 기억 검사 점수가 평균 6.82% 높았다. 전두엽 검사 점수는 약 9.7% 높았고, 처리 속도 검사에선 32.4% 더 빨랐다.

이러한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추가 분석을 시행한 결과, 입체시 기능이 낮은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인지기능 장애 위험이 최대 1.71배 높았다. 이는 시력, 질병력, 안과 질환력 등의 변수를 모두 통제한 결과다.
김기영 교수는 “입체시는 단순 시력과는 다른 고유한 시각 처리 능력으로 뇌의 전두엽 기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이번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입체시가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 있음을 확인한 첫 사례”라고 말했다.
원장원 교수는 “심도 있는 인지기능 분석을 위해 일반 간이 정신상태 검사 외에도 다양한 평가법을 활용했으며, 사회·경제적 요인, 청력, 안과질환 등 다양한 변수를 통제해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했다”며 “노인의 정기적인 입체시 검사는 인지기능 저하와 기능장애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노인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BMC 노인의학(BMC Geriatrics)’에 최근 게재됐다.
김기영 교수는 “입체시는 단순 시력과는 다른 고유한 시각 처리 능력으로 뇌의 전두엽 기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이번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입체시가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 있음을 확인한 첫 사례”라고 말했다.
원장원 교수는 “심도 있는 인지기능 분석을 위해 일반 간이 정신상태 검사 외에도 다양한 평가법을 활용했으며, 사회·경제적 요인, 청력, 안과질환 등 다양한 변수를 통제해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했다”며 “노인의 정기적인 입체시 검사는 인지기능 저하와 기능장애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노인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BMC 노인의학(BMC Geriatric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