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오가노이드를 통한 약물 스크리닝 서비스 ‘삼성 오가노이드’를 론칭했다고 16일 밝혔다.
새 사업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고객사의 신약 후보물질 발굴 단계부터 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품청(EMA) 등 글로벌 주요 규제기관으로부터 359건의 제조승인을 획득한 제조관리 기준(GMP) 운영 경험을 토대로 고품질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우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를 통한 항암 신약 후보물질 스크리닝에 주력한다. 이를 통해 낮은 환자 유사성, 비용 부담, 윤리적 문제 등의 단점을 안고 있었던 기존 세포 또는 동물 모델을 활용한 후보물질 스크리닝을 대체해나간다는 구상이다.
오가노이드는 ‘장기(organ)’에 ‘유사함’을 뜻하는 접미사 ‘-oid’를 결합한 용어로, 줄기세포 또는 조직 유래 세포를 3차원으로 응집·배양한 ‘미니 장기 모델’을 뜻한다. 기존 실험방식보다 비용 부담은 적으면서 85%에 달하는 높은 환자 유사성을 통해 후보물질의 효능과 독성을 보다 면밀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시장 규모는 2024년 10억달러(약 1조3678억원)에서 연평균 22% 성장해 2030년 33억달러(약 4조5137억원)로 성장할 전망읻. 특히 지난 4월 FDA가 동물실험을 축소하고 그 대체 방안으로 오가노이드 등을 장려한다는 계획을 내놓으면서 산업의 성장세가 더 가팔라질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존 림 대표는 “초기 개발 단계부터 신속하고 정확한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
새 사업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고객사의 신약 후보물질 발굴 단계부터 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품청(EMA) 등 글로벌 주요 규제기관으로부터 359건의 제조승인을 획득한 제조관리 기준(GMP) 운영 경험을 토대로 고품질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우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를 통한 항암 신약 후보물질 스크리닝에 주력한다. 이를 통해 낮은 환자 유사성, 비용 부담, 윤리적 문제 등의 단점을 안고 있었던 기존 세포 또는 동물 모델을 활용한 후보물질 스크리닝을 대체해나간다는 구상이다.
오가노이드는 ‘장기(organ)’에 ‘유사함’을 뜻하는 접미사 ‘-oid’를 결합한 용어로, 줄기세포 또는 조직 유래 세포를 3차원으로 응집·배양한 ‘미니 장기 모델’을 뜻한다. 기존 실험방식보다 비용 부담은 적으면서 85%에 달하는 높은 환자 유사성을 통해 후보물질의 효능과 독성을 보다 면밀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시장 규모는 2024년 10억달러(약 1조3678억원)에서 연평균 22% 성장해 2030년 33억달러(약 4조5137억원)로 성장할 전망읻. 특히 지난 4월 FDA가 동물실험을 축소하고 그 대체 방안으로 오가노이드 등을 장려한다는 계획을 내놓으면서 산업의 성장세가 더 가팔라질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존 림 대표는 “초기 개발 단계부터 신속하고 정확한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
공함으로써 고객사의 개발 리스크를 줄이고 개발 속도는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