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소식
척추 수술 중 깊은 신경근 차단… 섬망 발생률 줄여
이슬비 기자
입력 2025/06/11 14:34
척추 수술 중 깊은 신경근 차단이 노인 환자에서 근육 손상과 섬망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구로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오석경 교수팀은 후방 접근 척추수술을 받는 65세 이상 고령 환자 2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RCT)을 실시했다. 그 결과, 수술 중 깊은 신경근 차단을 적용한 환자군에서 척추 주변 근육의 조직 손상과 출혈량이 감소했고, 수술 후 섬망 발생률 또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섬망과 염증 반응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류킨-6(IL-6)의 수술 전후 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깊은 차단군에서 IL-6 상승 폭이 중등도 차단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근육 손상의 감소가 전신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섬망 발생 위험을 줄이는 생리적 기전일 수 있다고 시사했다.
오 교수는 “수술 후 섬망은 인지 기능 저하뿐 아니라 입원 기간 연장, 기능 회복 지연, 사망률 및 의료비 증가와 직결되는 중대한 합병증으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마취 중 비교적 간단한 중재를 통해 섬망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개최된 ‘2025년 대한신경근연구학회 춘계 학술대회 3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최우수초록상’을 수상했다.
고려대 구로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오석경 교수팀은 후방 접근 척추수술을 받는 65세 이상 고령 환자 2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RCT)을 실시했다. 그 결과, 수술 중 깊은 신경근 차단을 적용한 환자군에서 척추 주변 근육의 조직 손상과 출혈량이 감소했고, 수술 후 섬망 발생률 또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섬망과 염증 반응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류킨-6(IL-6)의 수술 전후 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깊은 차단군에서 IL-6 상승 폭이 중등도 차단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근육 손상의 감소가 전신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섬망 발생 위험을 줄이는 생리적 기전일 수 있다고 시사했다.
오 교수는 “수술 후 섬망은 인지 기능 저하뿐 아니라 입원 기간 연장, 기능 회복 지연, 사망률 및 의료비 증가와 직결되는 중대한 합병증으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마취 중 비교적 간단한 중재를 통해 섬망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개최된 ‘2025년 대한신경근연구학회 춘계 학술대회 3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최우수초록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