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미국 팝가수 마일리 사이러스(32)가 뮤직비디오 촬영 후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사실을 밝혔다./사진=Deadline
미국 유명 팝가수 마일리 사이러스(32)가 과거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사실을 밝혔다.

지난 5월 22일(현지시각) 마일리 사이러스는 미국 인기 토크쇼 ‘지미 키멜 라이브’에 출연해 최근 발매된 노래 ‘Something Beautiful’ 뮤직비디오 촬영 후 중환자실에 입원한 사연을 전했다. 사이러스는 “지난해 10월 촬영이 끝나고 11월 추수감사절 무렵 중환자실에 입원했었다”고 말했다.

입원한 이유에 대해 그는 당시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서 촬영하다 넘어져 바닥에 굴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고 직후 사이러스는 무릎뼈에 이상 증세를 느껴 병원을 찾았고 감염이 심해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했다. 사고를 회상하며 그는 “무릎뼈 주변이 무너지는 듯한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당시 사이러스가 받은 진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폭스 뉴스는 이와 관련 뉴욕대 랑곤 헬스 병원 임상의학 교수 마크 시걸과의 인터뷰를 공개했다. 시걸 교수는 사이러스가 넘어지면서 거리에 있는 세균에 의해 무릎이 감염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길거리에 서식 중인) 연쇄상구균이나 포도상구균은 봉와직염과 같은 피부 감염의 흔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면역력 약한 사람은 괴사·패혈증까지
봉와직염은 피부와 근육, 림프관, 관절 등의 연부조직에 발생하는 급성 세균성 감염증이다. 발병 초기에는 열이 나고 오한이 들며 두통과 근육통이 동반된다. 또, 상처를 입은 부위가 빨갛게 되거나 부어오르고 누를 때 통증이 나타난다. 병이 진행되면 감염된 부위를 눌렀을 때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봉와직염은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예후가 다르다. 건강한 성인은 대부분 완치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소아나 노인, 환자에게는 피부 괴사, 화농성 관절염, 골수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마일리 사이러스처럼 감염의 정도가 심한 경우 면역력 저하를 의심할 수 있다. 봉와직염은 증세가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면역 기능이 약한 사람은 합병증으로 괴사성 근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괴사성 근막염은 근육을 감싸는 막과 주변 지방조직에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으로, 패혈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실제로 괴사성 근막염 환자의 30%가 패혈증으로 사망한다.

◇당뇨병·림프부종 환자라면 더욱 위험
봉와직염은 마일리 사이러스처럼 넘어지기만 해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봉와직염은 주로 상처나 무좀, 종기 등 찢어진 피부 사이로 세균이 들어오면서 다리에 나타난다. 봉와직염의 원인균은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이다. 두 원인균은 체내에 서식하는 균이지만 혈액이나 상처를 통해 감염되면 봉와직염, 급성 인후염, 성홍열 등을 유발할 위험성이 있다. 당뇨병이나 림프부종을 앓는 환자라면 봉와직염이 발병할 위험이 더 크다. 당뇨병 환자는 면역력이 약하고, 림프부종 환자는 림프액이 정체돼 있어 염증 반응이 더 쉽게 나타난다.

◇평소 청결 유지하고 피부 마찰·압박 피해야
봉와직염은 항생제와 배농술(감염된 피부를 절개해 고름을 배출시키는 시술)로 치료할 수 있다. 항생제는 보통 5~10일 정도 투여하고, 환자 상태에 따라 투여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 환자들은 대부분 합병증 없이 완치된다. 봉와직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청결을 유지하고 피부에 반복적인 마찰이나 압박을 피하는 것이 좋다. 몸을 조이는 옷은 혈액 순환을 방해하므로 입지 않도록 한다. 당뇨를 앓고 있는 환자라면 평소 생활 습관과 치료를 통해 혈당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림프부종 환자는 압박 스타킹이나 마사지로 림프액의 흐름을 촉진해 부종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