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텍스트’ 기반 SNS 이용자 수 늘고 있어… 글쓰는 기쁨, 뇌에도 좋다
이해림 기자
입력 2025/06/06 13:03
MZ세대를 중심으로 텍스트 기반 소셜미디어(SNS) 플랫폼이 되살아나고 있다. 지난 3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X와 스레드는 지난 4월 기준 이용자 수가 각각 738만 명, 609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123.3% 증가했다. 스레드는 인스타그램 모회사 메타가 출시한 텍스트 기반 SNS로, 게시글 하나당 글자 수를 500자로 제한하고 있다. X 역시 무료 이용자가 한 번에 작성할 수 있는 글자 수를 280자로 제한한다.
짧은 글부터 시작해서, 점점 더 긴 글을 쓸 수 있도록 연습해보는 건 어떨까. 글쓰기만 자주 해도 나이 들며 인지 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글쓰기는 인지 기능을 포함한 뇌 기능의 노화를 늦추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글을 쓸 땐 소재를 생각하고, 주제를 결정하고, 끝맺을 때까지 집중하는 등 다양한 능력이 필요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심리학과 연구팀이 평균 73.5세 성인 21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일기 같은 글을 꾸준히 쓴 사람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비롯한 모든 유형의 치매 발병 위험이 53%나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복잡한 단어를 자주 사용할수록, 글을 길게 쓸수록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글쓰기를 당장 시작하기 어렵다면, 이미 적힌 정보를 받아들이는 독서라도 해 보자. 독서도 인지 기능 유지에 이롭다. 중국 베이징대 신경학과 린 루 교수팀이 28개국 210만 명을 최소 3년에서 최대 44년 추적 조사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글쓰기뿐 아니라 독서도 치매 예방에 좋다고 알려진 동호회 등 사회 활동이나 운동보다 치매 예방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는 뇌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정보 처리력, 분석력, 이해력, 기억력 감퇴를 예방한다. 문장 구조가 복잡한 책을 읽을수록 뇌가 더 활성화된다.
짧은 글부터 시작해서, 점점 더 긴 글을 쓸 수 있도록 연습해보는 건 어떨까. 글쓰기만 자주 해도 나이 들며 인지 기능이 감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글쓰기는 인지 기능을 포함한 뇌 기능의 노화를 늦추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글을 쓸 땐 소재를 생각하고, 주제를 결정하고, 끝맺을 때까지 집중하는 등 다양한 능력이 필요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심리학과 연구팀이 평균 73.5세 성인 21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일기 같은 글을 꾸준히 쓴 사람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비롯한 모든 유형의 치매 발병 위험이 53%나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복잡한 단어를 자주 사용할수록, 글을 길게 쓸수록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글쓰기를 당장 시작하기 어렵다면, 이미 적힌 정보를 받아들이는 독서라도 해 보자. 독서도 인지 기능 유지에 이롭다. 중국 베이징대 신경학과 린 루 교수팀이 28개국 210만 명을 최소 3년에서 최대 44년 추적 조사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글쓰기뿐 아니라 독서도 치매 예방에 좋다고 알려진 동호회 등 사회 활동이나 운동보다 치매 예방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는 뇌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정보 처리력, 분석력, 이해력, 기억력 감퇴를 예방한다. 문장 구조가 복잡한 책을 읽을수록 뇌가 더 활성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