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의학칼럼] 달리기 후 무릎·고관절 통증… 러너들이 자주 겪는 질환 3가지는?

가자연세병원 최윤석 원장

이미지

가자연세병원 최윤석 원장​
건강과 체력 관리를 위해 '러닝'을 시작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특별한 장비 없이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운동이지만, 생각보다 많은 러너들이 통증을 겪고 병원을 찾는다. 특히 무릎이나 고관절 주변에서 반복되는 통증은 단순한 근육통이 아닐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러너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 3가지를 알아본다.

①러너스 니(Runner’s knee) – 무릎 앞쪽 통증
러닝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로, 무릎 앞쪽 슬개골 주위에 통증이 생긴다. 과사용, 러닝 폼 문제, 대퇴사두근 약화 등이 주요 원인이며, 계단 오르내리기나 오래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이 질환은 대퇴골과 슬개골 사이 연골이 자극되거나 손상되면서 발생하며, 초기에는 운동량 조절과 스트레칭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②장경인대 증후군 – 무릎 바깥쪽 통증
골반에서 시작해 무릎 바깥까지 이어지는 장경인대가 과도한 러닝으로 마찰되면서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러닝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갑자기 훈련량이나 속도를 늘린 경우 자주 발생한다. 무릎 바깥쪽에 찌릿하거나 타는 듯한 통증이 특징이며,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 폼롤러 마사지로 예방할 수 있다.

③대전자 점액낭염 – 고관절 외측 통증
엉덩이 바깥쪽, 특히 눌렀을 때 아픈 부위가 있다면 대전자 점액낭염을 의심할 수 있다. 점액낭은 관절의 마찰을 줄여주는 점액을 담고 있는 주머니로, 엉덩이 근육과 인대가 지나가는 지점에 있는 점액낭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체중 부하가 많은 운동을 하거나 장시간 달리기를 반복할 경우 자주 발생한다. 재발률이 높은 편이라 증상이 반복되면 정형외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러닝 후 생기는 통증은 대개 과사용으로 인한 염증이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다. 3일 이상 통증이 계속되거나 운동 후 뻣뻣함, 부종이 동반된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니라 부상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달리기 후 무릎이나 고관절 통증이 일주일 이상 지속된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닌 부상일 가능성이 크다. 통증의 양상과 위치에 따라 원인과 치료법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단순 휴식이나 민간요법보다는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하다. 러닝 부상은 조기 발견 시 충분히 회복이 가능하며, 관절에 대한 해부학적 이해와 치료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를 통해 운동을 중단하지 않고 건강하게 지속할 수 있다.

(*이 칼럼은 가자연세병원 최윤석 원장​의 기고입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