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방송인 덱스(29)가 네팔에서 훈련받으며 과호흡이 왔다고 밝혔다.
지난 25일 방영한 MBC 예능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4’에 출연한 덱스는 네팔의 한 훈련소에 방문해 훈련에 참여했다.
첫 번째 훈련은 20kg 가방을 들고 달리는 것이었다. 덱스는 “훈련 중후반부터는 몸이 말을 안 들었다”며 “너무 힘들고 다리가 풀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두 번째 훈련인 ‘줄 타고 올라가기’를 진행했다.
훈련을 마친 덱스는 “사실 첫 번째 훈련 때 이미 근육에 힘이 빠졌다”며 “나 자신에게 부끄럽고 열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포기만 하지 말자고 생각했다”며 “여기서 포기하면 문신을 다 파버릴 것 같았다”고 말했다. 앞서, 덱스는 UDT(해군특수전전단) 출신으로 UDT의 정신력을 기억하기 위해 팔과 왼쪽 가슴에 문신을 새겼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훈련 중 과호흡 증후군을 겪은 것 같다”며 “갑자기 과하게 운동해서 체력적으로 너무 힘들었다”고 했다. 덱스처럼 과하게 운동하면 ‘과호흡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과호흡 증후군이란 운동, 스트레스, 질환 등으로 호흡 중 이산화탄소가 과다하게 배출돼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정상 범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것을 뜻한다.
우리 몸은 정상적인 호흡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그 결과 동맥혈(동맥 속의 혈액)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37~43mmHg를 유지한다. 동맥혈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 범위 아래로 떨어지면 호흡 곤란, 어지럼증, 저리고 마비되는 느낌,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과도한 호흡으로 인해 혈액이 알칼리화돼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발생하며 심장 혈관이 수축해 흉통이 나타날 수 있다.
과호흡 증후군이 발생했다면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주변에 봉투나 봉지가 있다면 이를 부풀려 그 안의 공기를 호흡한다. 공기 안의 이산화탄소를 흡입하면 폐포 속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해 혈액이 알칼리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환자 스스로 호흡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된다. 그러나 증상이 계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항불안제, 베타차단제 등의 약물을 처방받는 것이 좋다.
한편, 운동할 때 과호흡뿐 아니라 통증이나 무력감 등이 나타난다면 즉시 운동을 멈춰야 한다. 압박감이나 통증이 목, 허리, 어깨, 팔까지 나타난다면 내 몸에 맞지 않는 운동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왼쪽 어깨부터 팔까지 통증이 퍼진다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의 전조증상일 수 있다. 조금만 운동해도 심하게 피로하고 무력감을 느끼거나 탈진할 것만 같다면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혈액순환이 잘 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5일 방영한 MBC 예능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4’에 출연한 덱스는 네팔의 한 훈련소에 방문해 훈련에 참여했다.
첫 번째 훈련은 20kg 가방을 들고 달리는 것이었다. 덱스는 “훈련 중후반부터는 몸이 말을 안 들었다”며 “너무 힘들고 다리가 풀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두 번째 훈련인 ‘줄 타고 올라가기’를 진행했다.
훈련을 마친 덱스는 “사실 첫 번째 훈련 때 이미 근육에 힘이 빠졌다”며 “나 자신에게 부끄럽고 열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포기만 하지 말자고 생각했다”며 “여기서 포기하면 문신을 다 파버릴 것 같았다”고 말했다. 앞서, 덱스는 UDT(해군특수전전단) 출신으로 UDT의 정신력을 기억하기 위해 팔과 왼쪽 가슴에 문신을 새겼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훈련 중 과호흡 증후군을 겪은 것 같다”며 “갑자기 과하게 운동해서 체력적으로 너무 힘들었다”고 했다. 덱스처럼 과하게 운동하면 ‘과호흡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과호흡 증후군이란 운동, 스트레스, 질환 등으로 호흡 중 이산화탄소가 과다하게 배출돼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정상 범위 미만으로 낮아지는 것을 뜻한다.
우리 몸은 정상적인 호흡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그 결과 동맥혈(동맥 속의 혈액)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37~43mmHg를 유지한다. 동맥혈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 범위 아래로 떨어지면 호흡 곤란, 어지럼증, 저리고 마비되는 느낌,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과도한 호흡으로 인해 혈액이 알칼리화돼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발생하며 심장 혈관이 수축해 흉통이 나타날 수 있다.
과호흡 증후군이 발생했다면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주변에 봉투나 봉지가 있다면 이를 부풀려 그 안의 공기를 호흡한다. 공기 안의 이산화탄소를 흡입하면 폐포 속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해 혈액이 알칼리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환자 스스로 호흡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된다. 그러나 증상이 계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항불안제, 베타차단제 등의 약물을 처방받는 것이 좋다.
한편, 운동할 때 과호흡뿐 아니라 통증이나 무력감 등이 나타난다면 즉시 운동을 멈춰야 한다. 압박감이나 통증이 목, 허리, 어깨, 팔까지 나타난다면 내 몸에 맞지 않는 운동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왼쪽 어깨부터 팔까지 통증이 퍼진다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의 전조증상일 수 있다. 조금만 운동해도 심하게 피로하고 무력감을 느끼거나 탈진할 것만 같다면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혈액순환이 잘 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