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할리우드 배우 톰 크루즈(62)가 팝콘 먹는 것을 좋아한다고 밝혔다.
지난 1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AMC 링컨 스퀘어에서는 영화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시사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톰 크루즈는 관객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크루즈가 “모두 팝콘 먹었냐”고 묻자, 관객은 “네!”라며 열정을 보였다. 이에 크루즈는 “나는 가서 가져오겠다”며 “보통 영화를 보는 동안 두세 통은 먹는다”고 말했다. 크루즈는 영화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에서 가상의 미국 정보기관 IMF 요원 이단 헌트 역을 맡아 30년째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가 영화를 보면서 두세 통씩 먹는다는 팝콘은 실제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팝콘은 옥수수 등 가공되지 않은 통곡물로 만들어진다. 통곡물은 쌀이나 밀 등 정제된 곡물에 비해 건강에 좋다. 첨가물 없이 옥수수로만 만든 팝콘은 섬유질이 풍부하고 포만감도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제격이다. 실제로 미국심장협회에서는 팝콘이 복합 탄수화물이라서 소화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 포만감을 오래 유지해준다고 했다. 팝콘은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미국농무부(USDA)에 따르면 팝콘 1컵당 약 1.15g의 섬유질이 함유돼 있으며, 이는 일일 섬유질 요구량의 10~15%를 충족한다. 팝콘에 들어 있는 섬유질은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섬유소로, 소화기 건강에 좋고 규칙적인 배변 활동에 도움이 된다.
다만, 영화관에서 먹는 팝콘은 염분과 칼로리가 많아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국내의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중에 유통 중인 대용량 팝콘 세트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330.9mg으로 1일 섭취 기준치(2000mg)의 16.5%에 달했다. 또 팝콘에 기름이 추가되면 칼로리와 지방이 2배로 늘어난다. 대용량을 기준으로 ▲양념 팝콘에는 1144.8mg ▲일반 팝콘은 546.4mg ▲캐러멜 팝콘은 200.5mg의 나트륨이 든 것으로 조사됐다.
달고 짭짤한 팝콘 섭취는 혈당 수치도 급격하게 올릴 수 있다. 서울시 조사 결과, 영화관에서 대용량 팝콘과 콜라 2잔을 두 명이서 나눠 먹으면 1인당 평균 섭취 당류가 72.4g으로 하루 기준치의 65%를 섭취하게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직접적인 원인인 혈당 스파이크(혈당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현상)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일반 팝콘이 아닌 캐러멜 팝콘을 먹는 경우 당류 섭취량은 최대 134배까지 높아진다. 대용량을 기준으로 ▲일반 팝콘은 당류 0.4g ▲양념 팝콘은 당류 5.9g ▲캐러멜 팝콘은 당류 53.4g이 들어 있다.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혈관에 염증이 생기고 혈관 벽이 손상돼 동맥경화(동맥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지는 질환)를 포함한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팝콘을 꼭 먹어야 한다면 건강한 팝콘을 만들어 먹는 것을 추천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마트에서 파는 팝콘용 옥수수를 직접 구매하면 된다. 이후 옥수수 알갱이를 기름 없이 튀기는 팝콘용 기계를 사용하거나 프라이팬에 옥수수 알갱이를 섞어 만들면 된다.
지난 1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AMC 링컨 스퀘어에서는 영화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시사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톰 크루즈는 관객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크루즈가 “모두 팝콘 먹었냐”고 묻자, 관객은 “네!”라며 열정을 보였다. 이에 크루즈는 “나는 가서 가져오겠다”며 “보통 영화를 보는 동안 두세 통은 먹는다”고 말했다. 크루즈는 영화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에서 가상의 미국 정보기관 IMF 요원 이단 헌트 역을 맡아 30년째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가 영화를 보면서 두세 통씩 먹는다는 팝콘은 실제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팝콘은 옥수수 등 가공되지 않은 통곡물로 만들어진다. 통곡물은 쌀이나 밀 등 정제된 곡물에 비해 건강에 좋다. 첨가물 없이 옥수수로만 만든 팝콘은 섬유질이 풍부하고 포만감도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제격이다. 실제로 미국심장협회에서는 팝콘이 복합 탄수화물이라서 소화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 포만감을 오래 유지해준다고 했다. 팝콘은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미국농무부(USDA)에 따르면 팝콘 1컵당 약 1.15g의 섬유질이 함유돼 있으며, 이는 일일 섬유질 요구량의 10~15%를 충족한다. 팝콘에 들어 있는 섬유질은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섬유소로, 소화기 건강에 좋고 규칙적인 배변 활동에 도움이 된다.
다만, 영화관에서 먹는 팝콘은 염분과 칼로리가 많아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국내의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중에 유통 중인 대용량 팝콘 세트의 평균 나트륨 함량은 330.9mg으로 1일 섭취 기준치(2000mg)의 16.5%에 달했다. 또 팝콘에 기름이 추가되면 칼로리와 지방이 2배로 늘어난다. 대용량을 기준으로 ▲양념 팝콘에는 1144.8mg ▲일반 팝콘은 546.4mg ▲캐러멜 팝콘은 200.5mg의 나트륨이 든 것으로 조사됐다.
달고 짭짤한 팝콘 섭취는 혈당 수치도 급격하게 올릴 수 있다. 서울시 조사 결과, 영화관에서 대용량 팝콘과 콜라 2잔을 두 명이서 나눠 먹으면 1인당 평균 섭취 당류가 72.4g으로 하루 기준치의 65%를 섭취하게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직접적인 원인인 혈당 스파이크(혈당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현상)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일반 팝콘이 아닌 캐러멜 팝콘을 먹는 경우 당류 섭취량은 최대 134배까지 높아진다. 대용량을 기준으로 ▲일반 팝콘은 당류 0.4g ▲양념 팝콘은 당류 5.9g ▲캐러멜 팝콘은 당류 53.4g이 들어 있다.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혈관에 염증이 생기고 혈관 벽이 손상돼 동맥경화(동맥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지는 질환)를 포함한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팝콘을 꼭 먹어야 한다면 건강한 팝콘을 만들어 먹는 것을 추천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마트에서 파는 팝콘용 옥수수를 직접 구매하면 된다. 이후 옥수수 알갱이를 기름 없이 튀기는 팝콘용 기계를 사용하거나 프라이팬에 옥수수 알갱이를 섞어 만들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