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플라스틱 많이 쓰면 ‘수면장애’도 위험
김서희 기자
입력 2025/05/14 21:30
플라스틱 화학물질이 카페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신체 리듬을 방해해 수면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르웨이 과학기술연구소 연구팀은 플라스틱 속 화학 물질이 인체의 세포 신호 전달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에는 의료용 폴리염화비닐(PVC) 튜브와 폴리우레탄(PU) 소재 물주머니에서 추출한 화학 물질이 사용됐다. PVC와 PU는 옷, 장난감, 식품 포장재, 가구 등 생활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원료다.
연구 결과, 플라스틱 화학 물질은 생체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데노신 수용체는 ‘해가 뜨고 있으니 하루를 시작하자’는 메시지를 몸에 전달하는데, 플라스틱 화학 물질이 이 전달 과정을 차단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생체 리듬의 흐름을 지연시켰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러한 작용 방식은 커피의 카페인과 유사하다. 카페인은 뇌의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해 인체를 각성 상태로 만든다. 플라스틱 화학 물질 역시 같은 방식으로 인체가 깨어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연구 저자 마틴 바그너 박사는 “화학 물질은 카페인만큼 강력하지는 않지만 호르몬보다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더 빨리 일어난다”며 “이번 연구는 플라스틱에 다양한 독성 효과를 유발하는 화합물이 포함됐다는 증거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국제환경’에 최근 게재됐다.
노르웨이 과학기술연구소 연구팀은 플라스틱 속 화학 물질이 인체의 세포 신호 전달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에는 의료용 폴리염화비닐(PVC) 튜브와 폴리우레탄(PU) 소재 물주머니에서 추출한 화학 물질이 사용됐다. PVC와 PU는 옷, 장난감, 식품 포장재, 가구 등 생활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원료다.
연구 결과, 플라스틱 화학 물질은 생체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데노신 수용체는 ‘해가 뜨고 있으니 하루를 시작하자’는 메시지를 몸에 전달하는데, 플라스틱 화학 물질이 이 전달 과정을 차단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생체 리듬의 흐름을 지연시켰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러한 작용 방식은 커피의 카페인과 유사하다. 카페인은 뇌의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해 인체를 각성 상태로 만든다. 플라스틱 화학 물질 역시 같은 방식으로 인체가 깨어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연구 저자 마틴 바그너 박사는 “화학 물질은 카페인만큼 강력하지는 않지만 호르몬보다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더 빨리 일어난다”며 “이번 연구는 플라스틱에 다양한 독성 효과를 유발하는 화합물이 포함됐다는 증거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국제환경’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