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소식

인공관절 수술, 슬개골보다 대퇴골 외측을 기준점으로 했을 때 오차 적어

이슬비 기자

힘찬병원, 인공관절수술 SCIE급 논문 발표

이미지

고관절 인공관절./사진=클립아트코리아
국내 연구팀이 마코로봇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시 정확한 다리 길이 측정을 위한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했다.

골반뼈와 대퇴골뼈가 만나는 부위인 고관절은 심한 관절염이나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대퇴골 골절 시에 인공관절수술을 시행한다.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후에는 드물게 탈구나 수술 후 다리 길이에 차이가 나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수술 후 양쪽 다리 길이가 다르다면, 고관절의 안정성이 저하하고 요통이나 보행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관절의 안정성이 떨어지면 고관절 충돌과 탈구가 발생할 수 있고, 관절면 손상으로 마모가 생겨 인공관절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에 로봇 수술기가 접목되고 있는데, 지금까지 다리 길이는 슬개골을 기준점으로 측정됐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슬개골이 아닌 대퇴골 외측 상과를 기준점으로 했을 때 효용성이 더 크다고 밝혔다.

힘찬병원 정형외과팀은 지난 2023년 9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수술한 일반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환자, 슬개골 하방 또는 대퇴골 외측 상과를 기준점으로 한 마코로봇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환자 각 26명씩 총 78명을 비교했다.


그 결과, 대퇴골 외측 상과를 기준점으로 한 로봇수술이 수술 후 엑스레이 영상을 비교했을 때 다리 길이 차이가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 슬개골 하방(아래쪽)을 기준점으로 잡는 방식은 수술 중 다리에 가해지는 견인력으로 인해 기준점의 위치가 미세하게 변동될 수 있고, 무릎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슬개골 힘줄의 길이가 달라져 측정값에 오류가 생길 수 있다는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러한 요인들은 밀리미터 단위의 정밀한 다리 길이 측정에 어려움을 초래해 수술 후 환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동녕 진료원장은 “로봇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시 인공관절 삽입 전후의 다리 길이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수술 후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며 "다리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기준점을 잡아 측정 기구(센서)를 부착하게 되는데, 환자의 비만도와 움직임에 영향을 받기 쉬운 무릎 슬개골 하방보다 대퇴골 외측 상과를 기준점으로 하게 되면 이러한 점을 보완해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다리 길이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를 통해 임상적 유용성을 더욱 확고히 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권위 있는 SCIE급 학술지인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지난 4월 게재됐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