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한미약품, 美학회서 ‘mRNA 면역항암제’ 연구결과 발표

전종보 기자

이미지

지난달 25~30일(현지시각)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한미약품 R&D센터 연구원들이 항암 신약 연구 내용이 담긴 포스터를 토대로 참석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 한미약품 제공
한미약품은 지난달 25~30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7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11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AACR에서 한미약품은 3년 연속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 중 가장 많은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가장 주목받은 발표는 ‘STING(Stimulator of IFN Genes) 단백질’을 직접 발현시켜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STING mRNA 항암 신약’이었다. STING mRNA 항암 신약은 세포주를 활용한 실험을 통해 암세포·면역세포에서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분비 증가로 다양한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 확인됐다. 대장암 동물 모델에서는 STING mRNA 항암 신약 단독 투여만으로 유의미한 종양억제 효과를 입증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여러 항암제와의 병용 가능성이 높아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면역치료 전략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미약품은 ‘p53 mRNA 항암 신약’의 연구 결과 2건도 함께 발표했다. 해당 약물은 대표적 종양억제 유전자인 p53 단백질을 세포 내에 정상적으로 발현시켜 암세포의 자멸을 유도하는 치료제로, 이번 학회에서는 폐암·난소암의 동소이식 동물 모델에서 암세포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가 공개됐다. 특히 탁셀 계열 화학요법과의 병용에서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냈으며, 아브락산과의 병용을 통해 폐암·난소암 동물 모델에서 항종양 활성을 입증했다.

북경한미약품의 R&D센터가 개발하고 있는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 ‘펜탐바디’를 적용한 차세대 면역항암 신약 ‘BH3120’의 비임상 연구 결과 2건도 발표됐다. 민감도가 높은 새로운 간독성 평가 모델에서 BH3120의 간독성 리스크를 평가한 연구와 가상의 암조직 내에서 BH3120이 면역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유전자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였다.

이외에도 표적항암 신약으로는 ▲EZH1/2 이중저해제(2건) ▲선택적 HER2 저해제(2건) ▲MAT2A 저해제 ▲SOS1 저해제 등이 소개됐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5월 유럽내분비학회, 6월 미국당뇨병학회에서 각각 희귀질환과 비만대사 분야 혁신 연구 성과를 공개하며 R&D 경쟁력을 입증하겠다”고 말했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