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소아 크론병, ‘혈액 검사’로 치료 예후 예측 가능

이슬비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혈액 검사로 알 수 있는 사이토카인 수치가 소아 크론병 환자의 치료 반응 예측에 유용하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몇 년 사이 유명 연예인들의 투병 사실로 대중에게 점차 알려진 크론병은 구강에서 항문까지 위장관 전체에 걸쳐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이다. 특히 소아기에 발병하면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더욱 신중하게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게 중요하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김미진∙최연호∙권이영∙김윤지 교수, 경희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선영 교수 연구팀은 미리 치료 예후를 파악하고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크론병 환자의 혈중 TNF-α 수치를 통해 점막 조직까지의 깊은 관해를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2020년 6월부터 1년간 중등도에서 중증 크론병으로 진단받은 19세 미만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했다. 환자 평균 연령은 14.9세였다.

1년 동안 인플릭시맵 치료를 받은 후 염증과 관련된 사이토카인 평균 수치는 감소했다.  ▲TNF-α는 15.82pg/mL에서 10.04pg/mL로 ▲인터루킨6은 23.62pg/mL에서 4.73pg/mL로 ▲인터루킨10은 112.77pg/mL에서 49.26pg/mL로 ▲인터루킨17에이는 9.70에서 3.12pg/mL으로 줄었다.

여러 사이토카인 중 TNF-α 수치가 높을수록 크론병 치료에 사용되는 생물학적 제제 '인플릭시맵' 치료 반응이 떨어졌고, 결국 관해 실패로 이어졌다.


관해에 도달하지 않은 환자의 평균 TNF-α 수치는 12.13pg/mL로, 깊은 관해에 도달한 환자의 평균 수치인 8.87pg/mL보다 높았다. 평균 인플릭시맵 최저혈중농도는 관해에 도달하지 않은 환자가 2.67pg/mL로, 깊은 관해에 도달한 환자의 최저혈중농도 4.64pg/mL보다 낮았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와 이번 연구를 고려해, 치료 1년 후 TNF-α 의 수치가 9.40pg/mL 이상이면 관해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 최대 80.2%의 높은 예측 정확도(AUROC)를 가진 결과다.

권이영 교수는 이번 연구로 “개별화된 치료 전략으로 소아청소년 염증성장질환 환자들이 더 자유롭고 건강한 일상을 누리는 날을 앞당기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미진 교수는 “소아 염증성 장 질환 치료의 정밀화 가능성을 높이고, 생물학적 제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반 연구”라며 “앞으로 개인 맞춤 치료를 통해 환아와 부모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의료를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