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국민 절반 이상 ‘장기적 울분’ 상태… 30대·저소득층 비율 높아

한희준 기자 | 유예진 인턴기자

이미지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이 장기적인 울분 상태에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이 장기적인 울분 상태에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건강재난 통합대응을 위한 교육연구단은 지난달 15∼21일 만 18살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신건강 증진과 위기 대비를 위한 일반인 조사’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연구진은 ‘울분’을 부당하고 모욕적이며 개인의 신념에 어긋나는 스트레스 경험에서 비롯된 감정 반응으로 정의했다. 이 감정을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응답자의 12.8%는 ‘심각한 울분’(2.5점 이상)을 겪고 있었다. ‘장기적 울분 상태’(1.6점 이상)에 해당한 비율은 54.9%에 달했다. 2018년 조사 당시의 14.7%보다는 낮지만, 지난해의 9.3%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연령대별로는 30대에서 심각한 울분 비율이 17.4%로 가장 높았다.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9.5%로 가장 낮았다. 월 소득 200만 원 미만 집단은 21.1%가 심각한 울분을 경험한 반면, 1000만 원 이상 고소득층에서는 5.4%에 그쳤다. 자신을 하층으로 인식한 집단의 심각한 울분 비율은 16.5%로, 중간층(9.2%)이나 상층(15.0%)보다도 높았다.

울분 수준은 공정성 인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세상은 공정하다’는 진술에 69.5%가 동의하지 않았다. ‘나는 대체로 공정한 대우를 받는다’고 느낀 응답자는 58.0%에 불과했다. 공정성에 대한 신념이 낮을수록 울분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공정 인식 점수가 평균보다 낮은 집단일수록 울분 수준이 더 높았다.


울분을 유발한 사회적 사안으로는 ‘입법·사법·행정부의 비리나 은폐’에 울분을 느꼈다는 응답이 8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가 85.2%, ‘안전관리 부실로 인한 의료·환경·사회 참사’가 85.1%로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47.1%는 최근 1년간 건강에 영향을 줄 정도의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55.4%로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 경험 비율은 소득 수준과 반비례했다. 월 소득 200만 원 미만 집단에서는 58.8%가, 1000만 원 이상 집단에서는 38.7%가 해당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연구를 총괄한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사회 안전성과 안정성, 그리고 사회적 신뢰를 높이는 것이 개인과 집단의 정신건강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며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심각한 울분이 오래 지속된다면 치료를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 외상후울분장애를 방치하면 자기 비하나 충동 조절의 어려움, 자살 충동 등으로 고통을 받을 수 있다. 대인 관계나 직업 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울분 장애 치료는 약물과 인지행동 요법 등 정신 치료를 병행한다. 인지행동 요법은 부정적인 감정을 다루는 연습을 통해 대응력을 기르는 치료다. 우울증은 항우울 약물로 뚜렷한 차도가 나타나지만, 울분은 약만으로는 치료 효과가 낮을 수 있어 정신 치료적 접근이 중요하다.

일상에서 감정을 해소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운동 ▲음악 듣기 ▲천천히 호흡하기 ▲산에 올라 소리 지르기 ▲억울한 심정을 글로 써보기 등 자신에게 맞는 해소법을 실천하는 것이 정서적 회복에 도움이 된다.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덈굦占쎈벨�숅넫臾믪굲 占쎌쥙�∽옙��삕占쏙옙�용쐻�좑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옙醫롫윥占쎈벨�숋옙占쎌굲壤깍옙占쎈뜄�됧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쎈벊彛띶뜝�덇턂占쎈틶�앾옙�덉굲�좎럩�쒙옙�쇱삕�ル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