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질환

“평생을 주님과 교회에 헌신”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향년 88세

임민영 기자

[해외토픽]

이미지

2013년부터 12년간 교황으로 재임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각) 88세로 선종했다./사진=ABC News
2013년부터 12년간 교황으로 재임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각) 88세로 선종했다.

교황청 궁무처장인 케빈 페렐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오늘 아침 7시 35분에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셨다”고 발표했다. 페렐 추기경은 “그는 삶의 전체를 주님과 교회를 섬기는 데 헌신했다”며 “신앙, 용기, 보편적 사랑을 갖고 복음의 가치를 살아가라고 우리를 가르쳤다고, 특히 가장 가난한 이들과 가장 소외된 이들을 지지했다”고 말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최초의 남아메리카 출신으로 2013년 베네딕토 16세에 이어 교황이 됐다.

그는 기관지염으로 지난 2월 14일부터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다. 이후 추가로 폐렴을 진단받는 등 건강 상태가 급속히 나빠졌다. 38일간 입원 치료를 마치고 퇴원해 활동을 재개하려 했다. AP통신은 “아르헨티나 태생의 프란치스코 교황은 2000년 역사 기관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었다”며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봉쇄된 바티칸 시국에서 보편 종교를 이끄는 전례 없는 현실을 헤쳐나갔다”고 평가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진단받은 기관지염은 목구멍 뒤에 있는 폐로 들어가는 관인 기관에 병원균이 침입해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주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감염된다. ▲면역력 저하 ▲위식도 역류 ▲잦은 흡연 등으로 인해 걸리기 쉽다. 기관지염은 인후통, 발열, 기침, 호흡 곤란 같은 증상을 일으키며, 심할 경우 프란치스코 교황처럼 폐렴이나 천식 같은 다른 호흡기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관지염은 급성일 경우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라 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완화한다. 기관지염을 예방하려면 평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하고, 독감이나 폐렴 백신을 접종하는 게 중요하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후 진단받은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폐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감염성 질환이다. 젊은 폐렴 환자의 경우 염증에 의해 발열·기침·가래·몸살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반면, 면역력이 약한 노인에게서는 호흡기 증상 없이 ▲입맛이 떨어지고 ▲식사를 잘 못하고 ▲기운이 없고 ▲대소변을 잘 못 가리고 ▲헛소리를 하는 등 막연하고 뚜렷하지 않은 증상으로 발현해 단순 체력 저하를 원인으로 오인하기 쉽다. 그런데, 폐렴이 진단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면 사망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따라서 어르신이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인다면 급성 호흡기 증상이 없어도 병원 진료를 받아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나이가 들면 면역력이 떨어져 기관지염, 폐렴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게다가 한번 질환에 노출되면 쉽게 낫지 않고, 만성 질환으로 악화할 위험이 크다. 면역력을 지키고 싶다면 일찍이 생활 습관을 관리해야 한다. 평소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충분히 섭취해야 하며, 구강 위생관리를 철저히 한다.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 있다면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근력, 유산소, 균형을 포함한 다양한 운동을 하는 것도 좋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