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증상
50대 女 입속 뒤덮은 누르스름한 막… '이것' 때문이었다
김서희 기자
입력 2025/04/18 05:30
폐경 때 나타나는 입속 증상들
폐경기 이후에는 여성호르몬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호르몬 불균형으로 전신에 각종 증상이 나타난다. 구강 건강도 예외가 아니다.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 수치와 체내 수분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치아를 감싸는 잇몸뼈가 약해지며 구강건조증을 비롯한 다양한 구강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미국 건강 매체 ‘헬스라인’은 ‘구강 건강에 영향 미치는 폐경기… 주의해야 할 여섯 가지 신호’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폐경 이후 생기는 구강 변화 여섯 가지를 설명했다.
첫째, 구강작열감증후군이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혀에 뚜렷한 이상이 없는데도 혀가 화끈거리거나 따끔거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로 혀, 입천장 앞쪽, 입술 점막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입안 어디에나 나타날 수 있다. 입안이 건조해지거나 맛이 잘 느껴지지 않는 등의 증상을 겪기도 한다. 대한치과의사협회에 따르면 환자들은 ‘화끈거린다, 따갑다, 맵다’ 등의 다양한 표현으로 통증을 호소한다. 폐경 이후 여성 중 12~18%가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앓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평소 양치질을 할 때 치아와 잇몸 사이의 오목한 부위까지 강하지 않은 힘으로 꼼꼼히 닦는 게 중요하다. 또한 입안이 건조하지 않도록 물을 자주 머금어 입안을 촉촉하게 하고, 껌‧사탕‧신맛의 과일 등으로 침 분비를 자극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둘째, 구강칸디다증이다. 진균의 일종인 칸디다가 구강 점막에 증식하는 질환으로 입안엔 하얀 반점이 생기고 삼킬 때 쓰리거나 입꼬리가 갈라진다. 증상을 방치하면 구강 점막이 광범위한 백태로 뒤덮일 수 있다. 이때 통증, 발적이 동반될 수 있고, 백태 밑 혀 점막이 짓무를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구강칸디다증은 약물로 치료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와 함께 의치, 혀 클리너, 구강 내 장치 등 입속에 사용되는 기구들도 깨끗하게 관리하는 게 좋다.
셋째, 구강건조증이다. 침샘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입 속 점막이 창백해지며 잘 달라붙고, 혀가 갈라져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구강 내 건조가 심해지면 음식을 씹고 삼키기 어려워 소화 장애가 일어날 수 있으며, 말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외부 물질로부터 입안을 보호하는 침이 줄면서 구강질환이 발생할 위험도 커진다. 구강건조증은 침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 평소에는 물을 자주 마시고, 침 분비를 자극하는 껌을 씹거나 신 과일 등을 먹는 게 좋다.
넷째, 치아 손상이다.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 구강 점막이 얇아지며 잇몸과 치아를 지탱하는 뼈가 약해진다. 이로 인해 치아가 흔들리거나 시리며 심할 경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호르몬 변화로 칼슘 흡수가 방해돼 골밀도가 떨어지는 것도 치조골을 약화시키는 원인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양치질을 할 때 치아와 잇몸 사이의 오목한 부위까지 강하지 않은 힘으로 꼼꼼히 닦는 게 중요하다.
다섯째, 미각 변화다. 침 분비량이 감소하며 제대로 된 맛을 못 느낄 수 있다. 아무것도 먹지 않았는데 입안에서 금속 맛 또는 쓴맛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 이를 대처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섭취할 때 금속 도구 대신 나무, 유리 제품을 사용하는 걸 권장한다.
여섯째, 잇몸 내 출혈이다. 호르몬 수치가 변화하면 잇몸이 플라그와 박테리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출혈과 함께 잇몸 부종이 나타난다. 잇몸 색이 붉거나 창백하게 변하기도 한다. 잇몸에 피가 나는 상태인데도 계속 양치질을 잘못하면 치주염 등 심각한 치주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병원에 내원해 진단을 받아야 한다. 이를 예방을 위해서는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사이의 홈 또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살짝 끼우듯이 고정시켜 놓고 칫솔머리를 짧게 진동을 주듯이 움직여 닦는 칫솔질이 좋다.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 수치와 체내 수분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치아를 감싸는 잇몸뼈가 약해지며 구강건조증을 비롯한 다양한 구강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미국 건강 매체 ‘헬스라인’은 ‘구강 건강에 영향 미치는 폐경기… 주의해야 할 여섯 가지 신호’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폐경 이후 생기는 구강 변화 여섯 가지를 설명했다.
첫째, 구강작열감증후군이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혀에 뚜렷한 이상이 없는데도 혀가 화끈거리거나 따끔거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로 혀, 입천장 앞쪽, 입술 점막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입안 어디에나 나타날 수 있다. 입안이 건조해지거나 맛이 잘 느껴지지 않는 등의 증상을 겪기도 한다. 대한치과의사협회에 따르면 환자들은 ‘화끈거린다, 따갑다, 맵다’ 등의 다양한 표현으로 통증을 호소한다. 폐경 이후 여성 중 12~18%가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앓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평소 양치질을 할 때 치아와 잇몸 사이의 오목한 부위까지 강하지 않은 힘으로 꼼꼼히 닦는 게 중요하다. 또한 입안이 건조하지 않도록 물을 자주 머금어 입안을 촉촉하게 하고, 껌‧사탕‧신맛의 과일 등으로 침 분비를 자극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둘째, 구강칸디다증이다. 진균의 일종인 칸디다가 구강 점막에 증식하는 질환으로 입안엔 하얀 반점이 생기고 삼킬 때 쓰리거나 입꼬리가 갈라진다. 증상을 방치하면 구강 점막이 광범위한 백태로 뒤덮일 수 있다. 이때 통증, 발적이 동반될 수 있고, 백태 밑 혀 점막이 짓무를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구강칸디다증은 약물로 치료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와 함께 의치, 혀 클리너, 구강 내 장치 등 입속에 사용되는 기구들도 깨끗하게 관리하는 게 좋다.
셋째, 구강건조증이다. 침샘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입 속 점막이 창백해지며 잘 달라붙고, 혀가 갈라져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구강 내 건조가 심해지면 음식을 씹고 삼키기 어려워 소화 장애가 일어날 수 있으며, 말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외부 물질로부터 입안을 보호하는 침이 줄면서 구강질환이 발생할 위험도 커진다. 구강건조증은 침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 평소에는 물을 자주 마시고, 침 분비를 자극하는 껌을 씹거나 신 과일 등을 먹는 게 좋다.
넷째, 치아 손상이다.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 구강 점막이 얇아지며 잇몸과 치아를 지탱하는 뼈가 약해진다. 이로 인해 치아가 흔들리거나 시리며 심할 경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호르몬 변화로 칼슘 흡수가 방해돼 골밀도가 떨어지는 것도 치조골을 약화시키는 원인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양치질을 할 때 치아와 잇몸 사이의 오목한 부위까지 강하지 않은 힘으로 꼼꼼히 닦는 게 중요하다.
다섯째, 미각 변화다. 침 분비량이 감소하며 제대로 된 맛을 못 느낄 수 있다. 아무것도 먹지 않았는데 입안에서 금속 맛 또는 쓴맛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 이를 대처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섭취할 때 금속 도구 대신 나무, 유리 제품을 사용하는 걸 권장한다.
여섯째, 잇몸 내 출혈이다. 호르몬 수치가 변화하면 잇몸이 플라그와 박테리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출혈과 함께 잇몸 부종이 나타난다. 잇몸 색이 붉거나 창백하게 변하기도 한다. 잇몸에 피가 나는 상태인데도 계속 양치질을 잘못하면 치주염 등 심각한 치주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병원에 내원해 진단을 받아야 한다. 이를 예방을 위해서는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사이의 홈 또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살짝 끼우듯이 고정시켜 놓고 칫솔머리를 짧게 진동을 주듯이 움직여 닦는 칫솔질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