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눈에 ‘이 증상’ 있다면”… 혈액에 ‘지방’ 많다는 신호

임민영 기자 | 유예진 인턴기자

이미지

미국 안과 전문의 사야 나고리가 눈 주변에 나타나는 고지혈증의 주요 징후 세 가지를 소개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미국 안과 전문의가 눈 주변에 나타나는 고지혈증의 주요 징후를 소개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서레이 라이브는 미국 안과 전문 클리닉 ‘VisionMD Eye Doctors’ 소속 전문의이자 안과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Eye Facts’ 창립자인 ​사야 나고리와의 인터뷰를 통해 눈 주변에 나타날 수 있는 고지혈증의 징후를 소개했다. 나고리는 “고지혈증은 심장뿐만 아니라 눈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눈 주변에 나타나는 이상 징후도 경고 신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지혈증을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혈액검사지만 외적인 신호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나고리가 소개한 눈 주변에 나타나는 고지혈증의 주요 징후 세 가지를 알아본다.

고지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콜레스테롤이 혈관 벽에 쌓여 동맥경화(혈관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현상)를 유발한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심장병이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등으로 이어질 수 위험이 있다. 그런데, 고지혈증은 증상이 거의 없어 체내 변화가 있어도 알아차리기 어렵다.


다행히 고지혈증은 눈 주변에 신호를 보낼 때가 있다. 대표적으로 잔텔라스마(눈꺼풀 주변의 노란 지방 침착물)가 나타날 수 있다. 잔텔라스마는 혈중 콜레스테롤이 혈관 외부 조직으로 새어 나와 피부 아래에 쌓이면서 생긴다. 주로 미용상의 문제로 여겨지지만 고지혈증 환자에게서 더 자주 나타난다. 거울로 눈꺼풀 주위를 살펴봤을 때 노란빛의 평평한 지방 덩어리가 보인다면 콜레스테롤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특히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LDL)가 높을수록 발생 가능성이 크다. 또 다른 신호는 각막 주변 혼탁(각막 가장자리의 회색·파란색 고리)이다. 각막 주변의 미세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서 발생하며, 고령층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45세 이하의 젊은 나이에 나타난다면 고지혈증이 이미 진행 중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시야가 흐려지거나 갑작스러운 번쩍임이 반복되는 증상도 고지혈증이 원인일 수 있다. 이런 증상은 눈 속 좁은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생기는 홀렌호르스트 플라크로 인해 발생한다. 이외에도 고지혈증은 여러 망막 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2008년 호주 안과 연구 센터와 멜버른대학교는 공동 연구를 통해 중심 막막 정맥 폐쇄증(망막 중심 정맥이 피떡에 막히는 질환) 환자의 고지혈증 발병률이 일반인보다 약 2배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시야 이상이 계속된다면 안과 검진과 함께 콜러스테롤 수치 검사도 진행해야 한다.

한편, 정확한 고지혈증 진단에는 혈액검사가 기본이다. 혈액검사를 통해 ▲혈중 총콜레스테롤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LDL)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HDL) ▲중성지방 수치를 종합적으로 확인해야 고지혈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눈에 나타나는 변화 역시 몸이 보내는 중요한 이상 신호일 수 있는 만큼 결코 무시해서는 안 된다.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눈에 이상 징후가 반복된다면 혈액검사를 포함한 정밀 검진으로 원인을 조기에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