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김규리 '파면' 먹방 사진 화제… 라면, 조금 더 '건강하게' 먹으려면?
이해나 기자
입력 2025/04/04 13:57
배우 김규리(45)가 라면에 파를 올려 먹는 사진을 공개했다.
김규리는 4일 오전 자신의 SNS에 라면 위에 초록색 파가 듬뿍 올려져 있는 사진을 게시했다. 해시태그로는 '#파' '#면'을 덧붙여 화제가 되고 있다.
라면은 건강을 위해 피해야 하는 대표적인 식품으로 꼽힌다. 과도한 나트륨 함량 때문이다. 나트륨을 과하게 섭취하면 혈압이 높아질 위험이 있다. 한국영양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 5회 이상 면류를 섭취한 여성의 고혈압 발생 위험은 아예 먹지 않은 여성의 2.3배나 됐다.
라면을 그나마 건강하게 먹고 싶다면 김규리처럼 채소를 활용하는 게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파보다는 나트륨 배출에 더 효과가 좋은 ▲양파 ▲양배추 ▲시금치 ▲브로콜리를 곁들이는 걸 권장한다. 양파는 혈액 속의 불필요한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녹여 없애는 데 도움을 주며 라면의 기름기도 제거한다. 양배추는 나트륨 배출을 도울 뿐만 아니라, 같이 끓이면 단맛이 진해져 라면과 잘 어울린다. 시금치, 브로콜리 등 녹황색 채소에는 나트륨 배출 효과가 좋은 칼륨이 풍부하다. 반면 김치나 치즈를 곁들여 먹으면 하루 나트륨 섭취 권장량을 훌쩍 넘길 수 있어 자제하는 게 좋다.
한편, '저속노화(노화를 늦추는)' 식단을 알리기로 유명한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는 라면을 먹을 때 염도를 낮추기 위해 국물을 버리고 대신 얼음을 넣는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렌틸콩 캔 하나를 통째로 넣는다고 했다. 렌틸콩은 섬유소가 풍부하고 혈당 지수(GI·glycemic index)가 29로 낮은 편이어서 당뇨병 환자나 비만 환자가 먹기 좋다. 특히 섬유소는 콜레스테롤 배설 효과가 뛰어나 먹으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 준다. 또 렌틸콩은 철분과 마그네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혈관·심장질환을 예방하고 피로 해소에 효과적이다.
되도록 라면과 김치를 같이 안 먹는 것도 좋다. 김치엔 일반적으로 100g당 65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라면과 김치를 함께 먹으면 하루 나트륨 권장량을 훌쩍 넘기기 쉽다.
김규리는 4일 오전 자신의 SNS에 라면 위에 초록색 파가 듬뿍 올려져 있는 사진을 게시했다. 해시태그로는 '#파' '#면'을 덧붙여 화제가 되고 있다.
라면은 건강을 위해 피해야 하는 대표적인 식품으로 꼽힌다. 과도한 나트륨 함량 때문이다. 나트륨을 과하게 섭취하면 혈압이 높아질 위험이 있다. 한국영양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 5회 이상 면류를 섭취한 여성의 고혈압 발생 위험은 아예 먹지 않은 여성의 2.3배나 됐다.
라면을 그나마 건강하게 먹고 싶다면 김규리처럼 채소를 활용하는 게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파보다는 나트륨 배출에 더 효과가 좋은 ▲양파 ▲양배추 ▲시금치 ▲브로콜리를 곁들이는 걸 권장한다. 양파는 혈액 속의 불필요한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녹여 없애는 데 도움을 주며 라면의 기름기도 제거한다. 양배추는 나트륨 배출을 도울 뿐만 아니라, 같이 끓이면 단맛이 진해져 라면과 잘 어울린다. 시금치, 브로콜리 등 녹황색 채소에는 나트륨 배출 효과가 좋은 칼륨이 풍부하다. 반면 김치나 치즈를 곁들여 먹으면 하루 나트륨 섭취 권장량을 훌쩍 넘길 수 있어 자제하는 게 좋다.
한편, '저속노화(노화를 늦추는)' 식단을 알리기로 유명한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는 라면을 먹을 때 염도를 낮추기 위해 국물을 버리고 대신 얼음을 넣는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렌틸콩 캔 하나를 통째로 넣는다고 했다. 렌틸콩은 섬유소가 풍부하고 혈당 지수(GI·glycemic index)가 29로 낮은 편이어서 당뇨병 환자나 비만 환자가 먹기 좋다. 특히 섬유소는 콜레스테롤 배설 효과가 뛰어나 먹으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 준다. 또 렌틸콩은 철분과 마그네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혈관·심장질환을 예방하고 피로 해소에 효과적이다.
되도록 라면과 김치를 같이 안 먹는 것도 좋다. 김치엔 일반적으로 100g당 65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라면과 김치를 함께 먹으면 하루 나트륨 권장량을 훌쩍 넘기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