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인력·보고 체계 탓 신속 대응 어려운 일반병동… 이곳의 심정지 환자 살리는 ‘신속대응팀’
오상훈 기자
입력 2025/04/03 14:10
[병원 인사이드]
“입원 환자에게 문제가 생겼다고 해서 가보면 신속대응팀이 먼저 와서 대응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병원 내 신속대응팀에 대한 한 전문의의 평가다. 신속대응팀은 일반병동 입원 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즉각 개입해 환자의 상태 악화를 예방하는 역할을 맡는다. 지난 1일, 보건복지부는 신속대응팀을 지원하는 내용의 3단계 시범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지난 1일, 신속대응팀을 운영 중인 분당서울대병원에 방문했다.
◇‘찾아가는 중환자실’… 환자 이송부터 심정지까지 대응
분당서울대병원 10층 신속대응팀 대기 공간 내 간호사들의 시선은 모니터에 고정돼 있었다. 그곳에는 수많은 환자들의 심박수, 혈압, 산소포화도 등을 포함한 10개의 활력 징후들이 표시돼 있었다. 이따금씩 ‘딩동’ 하는 소리가 났는데 신속대응팀 소속 김춘한 수간호사는 “환자들의 활력 징후가 업데이트 되는 소리”라고 설명했다.
◇‘찾아가는 중환자실’… 환자 이송부터 심정지까지 대응
분당서울대병원 10층 신속대응팀 대기 공간 내 간호사들의 시선은 모니터에 고정돼 있었다. 그곳에는 수많은 환자들의 심박수, 혈압, 산소포화도 등을 포함한 10개의 활력 징후들이 표시돼 있었다. 이따금씩 ‘딩동’ 하는 소리가 났는데 신속대응팀 소속 김춘한 수간호사는 “환자들의 활력 징후가 업데이트 되는 소리”라고 설명했다.
오후 12시 50분, 콜을 받은 김 간호사는 동료 간호사와 함께 같은 층의 일반병동으로 다급히 뛰어갔다. 근심 어린 표정의 보호자들이 병상에 누워 있는 86세 환자를 둘러싸고 있었다. 신속대응팀 간호사들은 환자를 인계받아 3층 내과계 중환자실로 옮겼다. 위급한 상황은 아니었지만 일반병동에서 할 수 있는 게 없어 중환자실로 이동해야 한다고 했다. 해당 환자는 주치의와 함께 연명의료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환자를 이송하는 건 신속대응팀의 업무 중에서도 쉬운 편에 속한다. 환자를 인계하고 돌아와 숨을 돌리기도 잠시, 이번에는 모니터에서 ‘검사가 시급한 환자가 발생했다’는 적색 경고등이 떴다. 입원 환자의 산소포화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것이다. 김 간호사는 담당의에게 연락한 뒤 필요한 장비를 챙겨 다시 일반변동을 향해 달렸다.
◇조기 개입 통해 심정지 비율 낮추는 게 목표
분당서울대병원 신속대응팀이 지난해 일반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검진이 필요하다고 선별한 환자는 월평균 3000명가량이다. 200~300건은 직접 출동해 검진이나 처지를 시행하기도 했다. 이들의 주요 목표는 일반병동에 입원한 환자가 중환자실로 가거나 심정지를 겪는 비율을 낮추는 데 있다.
보통 심정지는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에서만 발생할 거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일반병동에서도 다양한 이유로 심정지 사례가 보고된다. 심부전, 폐렴 등 만성질환이 갑자기 악화하거나 수술 후 출혈로 쇼크가 발생하는 게 대표적이다. 전담 전문의가 상주하고 있는 중환자실과 달리, 일반병동은 지속적인 감시 부족과 복잡한 보고 체계 등으로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게다가 중환자실은 간호사 1인당 환자 수가 2~3명인데 비해 일반병동은 최소 10명이기 때문에 일반병동에서 심정지가 발생하면 대처가 늦어질 수 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2012년, 국내에서 세 번째로 발 빠르게 신속대응팀을 도입한 병원이다. 신속대응팀 도입 이후, 입원 환자 1000명당 심정지 건수는 1.60건에서 1.23건으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공백에 대처하기 위해 신속대응팀 운영을 24시간으로 늘렸다. 그러자 야간 심정지 발생률이 10%p나 감소했다.
◇신속대응팀 지원 나선 복지부 “2027년 본사업 전환 목표”
신속대응팀은 대형 종합병원의 표준이 돼 가고 있다. 2017년만 해도 전국에서 신속대응팀을 운영하는 병원은 열 세 곳에 불과했지만 2019년에는 30여곳, 2023년에는 40여곳으로 증가했다. 이에 발 맞춰 복건복지부도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2019년 신속대응팀을 지원하는 1차 시범사업을 시작했고 지난 1일부터 3차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총 55개 의료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오는 2027년 12월, 3차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성과를 평가해 본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본사업 추진 시에는 의사·간호사 팀 진료 등 의료기관 여건에 맞춰 인력 운영을 탄력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성과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환자를 이송하는 건 신속대응팀의 업무 중에서도 쉬운 편에 속한다. 환자를 인계하고 돌아와 숨을 돌리기도 잠시, 이번에는 모니터에서 ‘검사가 시급한 환자가 발생했다’는 적색 경고등이 떴다. 입원 환자의 산소포화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것이다. 김 간호사는 담당의에게 연락한 뒤 필요한 장비를 챙겨 다시 일반변동을 향해 달렸다.
◇조기 개입 통해 심정지 비율 낮추는 게 목표
분당서울대병원 신속대응팀이 지난해 일반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검진이 필요하다고 선별한 환자는 월평균 3000명가량이다. 200~300건은 직접 출동해 검진이나 처지를 시행하기도 했다. 이들의 주요 목표는 일반병동에 입원한 환자가 중환자실로 가거나 심정지를 겪는 비율을 낮추는 데 있다.
보통 심정지는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에서만 발생할 거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일반병동에서도 다양한 이유로 심정지 사례가 보고된다. 심부전, 폐렴 등 만성질환이 갑자기 악화하거나 수술 후 출혈로 쇼크가 발생하는 게 대표적이다. 전담 전문의가 상주하고 있는 중환자실과 달리, 일반병동은 지속적인 감시 부족과 복잡한 보고 체계 등으로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게다가 중환자실은 간호사 1인당 환자 수가 2~3명인데 비해 일반병동은 최소 10명이기 때문에 일반병동에서 심정지가 발생하면 대처가 늦어질 수 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2012년, 국내에서 세 번째로 발 빠르게 신속대응팀을 도입한 병원이다. 신속대응팀 도입 이후, 입원 환자 1000명당 심정지 건수는 1.60건에서 1.23건으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공백에 대처하기 위해 신속대응팀 운영을 24시간으로 늘렸다. 그러자 야간 심정지 발생률이 10%p나 감소했다.
◇신속대응팀 지원 나선 복지부 “2027년 본사업 전환 목표”
신속대응팀은 대형 종합병원의 표준이 돼 가고 있다. 2017년만 해도 전국에서 신속대응팀을 운영하는 병원은 열 세 곳에 불과했지만 2019년에는 30여곳, 2023년에는 40여곳으로 증가했다. 이에 발 맞춰 복건복지부도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2019년 신속대응팀을 지원하는 1차 시범사업을 시작했고 지난 1일부터 3차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총 55개 의료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오는 2027년 12월, 3차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성과를 평가해 본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본사업 추진 시에는 의사·간호사 팀 진료 등 의료기관 여건에 맞춰 인력 운영을 탄력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성과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