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병원소식
대동맥판막협착증, 약물 치료 가능성 열린다
최지우 기자
입력 2025/03/20 14:54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의 대동맥판막이 노화에 의해 점차 석회화되면서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심한 경우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다. 아직까지 가능한 약물 치료법이 없어 가슴을 절개하는 개흉 수술이나 스텐트 삽입을 통해 대동맥판막을 교체하는 타비시술만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이사민 교수팀이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판막 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은 약 17%로 정상 대조군(41%)보다 현저히 저하돼 있었다.
연구팀이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판막 세포에 스퍼미딘을 투여한 결과, 석회화 관련 유전자 발현이 절반 가까이 감소했으며 미토콘드리아 기능과 관련된 지표들이 세 배 이상 증가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이사민 교수는 “현재까지 약물 치료법이 없었던 대동맥판막협착증에서 스퍼미딘과 같은 항노화 물질이 치료 옵션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며 “향후 임상 연구를 통해 실용화 가능성을 더욱 구체화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학회지 기초 및 중개의학(JACC:Basic to Translation Science)’에 최근 게재됐다.
두 줄 요약!
1. 연구를 통해 스퍼미딘이 대동맥판막 석회화 유전자 감소시키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2. 스퍼미딘은 치즈, 현미, 버섯 등에 풍부한 천연물질로, 추후 임상연구를 통해 약물 치료 옵션으로 활용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