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웅제약이 지난해 1조원 이상의 원외처방액을 기록했다. ‘우루사’를 비롯한 기존 제품의 성장세가 이어진 가운데, 자체 개발 신약 ‘엔블로’, ‘펙수클루’ 또한 처방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지난해 원외처방액 1조332억원을 기록했다. 작년부터 555억원(2023년 기준) 규모 당뇨병 치료제 ‘포시가’의 판매를 중단했음에도, 2년 연속으로 1조원 이상의 원외처방실적을 올렸다.
지난해 대웅제약은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와 36호 신약 엔블로 등 자체 품목들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전년 대비 47% 성장한 원외처방액 788억원을 기록했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경쟁적위산분비억제제) 신약으로, 기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인 PPI(프로톤펌프저해제) 제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와 짧은 반감기, 낮은 복용 편의성 등을 개선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엔블로, 엔블로멧 등 엔블로군의 지난해 원외처방액(123억원) 또한 전년 대비 261% 증가하며 처음 100억원을 돌파했다. 당뇨병 신약 엔블로는 동일계열 약제 대비 적은 용량(0.3mg)으로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보이며 SGLT-2 억제제 시장에서 점차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우루사의 경우 지난해 9% 성장한 632억원의 원외처방액을 기록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간 기능개선, 위절제 환자의 담석 예방뿐 아니라 최근엔 코로나19 예방과 중증 진행 억제에 대한 연구결과가 잇따라 발표되며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코프로모션 품목들 역시 성장세를 나타냈다. 다이이찌산쿄와 코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는 ‘릭시아나’와 ‘세비카’군은 각각 전년대비 12%, 4% 증가한 원외처방액 1175억원, 1109억원을 기록했다. LG화학과 코프로모 중인 당뇨병 치료제 ‘제미글로’군 또한 원외처방액 1525억원으로, 전년 대비 6% 성장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2023년 주력 품목 중 하나였던 포시가 코프로모션 계약이 종료됐음에도, 다이이찌산쿄, LG화학 등 협력사들과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주요 코프로모션 품목들의 성장이 기존 품목 공백을 보완하는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대웅제약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전개·확대한 점 또한 의약품 원외처방액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대웅제약은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새로운 먹거리로 정하고 ▲연속혈당측정기 ‘프리스타일 리브레’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 ▲AI 실명질환 진단 보조 솔루션 ‘위스키’ 등 여러 기기를 도입하고 있다. 기존 치료 약물에 이들 기기의 도입 효과가 더해져 처방 실적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모비케어와 릭시아나, 프리스타일 리브레와 엔블로 등 디지털 헬스케어기기와 치료 약물 간 시너지가 본격화되며 처방 시장 성과에 기여하고 있다”고 했다.
12일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지난해 원외처방액 1조332억원을 기록했다. 작년부터 555억원(2023년 기준) 규모 당뇨병 치료제 ‘포시가’의 판매를 중단했음에도, 2년 연속으로 1조원 이상의 원외처방실적을 올렸다.
지난해 대웅제약은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와 36호 신약 엔블로 등 자체 품목들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전년 대비 47% 성장한 원외처방액 788억원을 기록했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경쟁적위산분비억제제) 신약으로, 기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인 PPI(프로톤펌프저해제) 제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와 짧은 반감기, 낮은 복용 편의성 등을 개선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엔블로, 엔블로멧 등 엔블로군의 지난해 원외처방액(123억원) 또한 전년 대비 261% 증가하며 처음 100억원을 돌파했다. 당뇨병 신약 엔블로는 동일계열 약제 대비 적은 용량(0.3mg)으로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보이며 SGLT-2 억제제 시장에서 점차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우루사의 경우 지난해 9% 성장한 632억원의 원외처방액을 기록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간 기능개선, 위절제 환자의 담석 예방뿐 아니라 최근엔 코로나19 예방과 중증 진행 억제에 대한 연구결과가 잇따라 발표되며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코프로모션 품목들 역시 성장세를 나타냈다. 다이이찌산쿄와 코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는 ‘릭시아나’와 ‘세비카’군은 각각 전년대비 12%, 4% 증가한 원외처방액 1175억원, 1109억원을 기록했다. LG화학과 코프로모 중인 당뇨병 치료제 ‘제미글로’군 또한 원외처방액 1525억원으로, 전년 대비 6% 성장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2023년 주력 품목 중 하나였던 포시가 코프로모션 계약이 종료됐음에도, 다이이찌산쿄, LG화학 등 협력사들과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주요 코프로모션 품목들의 성장이 기존 품목 공백을 보완하는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대웅제약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전개·확대한 점 또한 의약품 원외처방액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대웅제약은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새로운 먹거리로 정하고 ▲연속혈당측정기 ‘프리스타일 리브레’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 ▲AI 실명질환 진단 보조 솔루션 ‘위스키’ 등 여러 기기를 도입하고 있다. 기존 치료 약물에 이들 기기의 도입 효과가 더해져 처방 실적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모비케어와 릭시아나, 프리스타일 리브레와 엔블로 등 디지털 헬스케어기기와 치료 약물 간 시너지가 본격화되며 처방 시장 성과에 기여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