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펫

치주염 진단받은 노령견, 이빨 꼭 뽑아야 하나요? [멍멍냥냥]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문종선 원장

[헬스조선·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기획_멍냥주치의]

국내 12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기르면서 시시콜콜한 의문이 많이 생기지만, 조언을 구할 곳은 마땅치 않습니다. 반려동물 질환에서 반려생활 노하우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한 번쯤 궁금했던 것들. 헬스조선이 1200만 반려인을 대신해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수의사에게 직접 물어보는 ‘멍냥주치의’ 코너를 매주 연재합니다. (편집자주)





이미지

치주염이 생겼다면 발치가 필요하다. 사진은 실제 치과 수술 장면./사진=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제공
[반려인 궁금증] “치주염 있는 노령견, 마취·발치 꼭 필요할까요?”
최근 치주염을 진단받은 13살 푸들 보호자께서 사연을 보내셨습니다. 언젠가부터 눈 아래에서 진물이 흘러나왔고 피부병인가 해서 약을 복약해 보았지만 그때만 잠깐 괜찮았다고 합니다. 이후 동물병원에서 치첨단 농양을 진단 받았고 발치를 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고 합니다. 나이가 적은 환자는 아닌지라 발치도, 발치 시 전신마취하는 것도 걱정인데, 꼭 이것밖에 방법이 없을지 문의하셨습니다.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문종선 원장이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

[멍냥주치의 답변] “치주염이라면 발치 불가피하니, 예방 위해 꼭 양치질시키세요”
치첨단 농양은 치주염으로 인해 치아 뿌리가 썩어서 농이 찬 질환입니다. 잇몸과 치조골에 플라그가 증식하고, 이에 생긴 염증이 치주염으로 이어지면 치조골이 융해되며 안면 부종이나 치아 유실, 치첨단 농양이 발생합니다. 염증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인 문제 치아를 제거하고 병변 부위를 세척하지 않으면 내복약만으로는 쉽게 낫지 않을 것이기에 발치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강아지의 초기 치은염 단계에서는 스케일링 및 내복약 투약을 통한 치료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조골까지 염증이 진행돼 치주염으로 진단될 때에는 문제 치아의 상태를 확인한 후, 염증 제거를 위해 발치해야 합니다. 치아가 파절되거나 염증으로 인해 신경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신경치료도 필요합니다. 통증을 관리하고 주변 조직으로의 염증 진행을 억제하기 위함입니다.

사람과 달리 반려동물은 병을 치료하기 위해 이빨을 뽑아야 할 때도 있음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발치할 때 어쩔 수 없이 전신마취를 하는 편입니다. 마취 전엔 보호자와의 문진을 통해 반려동물 구강 관리 상태를 점검하고, 다른 기저 질환 유무를 확인합니다. 이어 마취 전 검사로 혈액 검사와 영상 검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마취 후엔 방사선 검사를 하고 이어서 스케일링과 폴리싱(치아 표면 연마)을 진행합니다. 본격적인 치과 치료에 들어가면 치아를 발치하고 필요에 따라서 신경 치료 또는 보존 치료를 시행합니다.


발치도, 전신 마취도 싫다면, 예방만이 방법입니다. 꼭 반려동물용 치약으로 꾸준히 양치질을 해주셔야 합니다. 양치질을 극도로 싫어하는 반려동물도 있다는 것을 압니다. 그러나 매일 양치질을 하는 사람도 구강질환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 반려동물이 매일 양치질을 하지 않고 치아 관리가 잘 되는 것은 불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칫솔질을 너무 거부한다면 잇몸에 발라주는 구강 관리 제품이라도 사용해보시길 권장합니다. 이것마저 도포하기 어렵다면 평소 먹이는 간식 대신 치약을 간식처럼 급여해보시기라도 하는 게 좋습니다. 또한, 자연스러운 저작 활동은 치아 관리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거의 씹어도 되지 않을 정도의 너무 부드러운 음식만을 급여하는 것은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딱딱한 음식은 치아 파절 및 잇몸의 손상을 유발하니, 적당한 저작 활동을 유도하기 위해 일반적인 건사료 정도의 강도를 지닌 식이 급여를 추천합니다.

물론, 물리적인 칫솔질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석과 플라그는 거의 제거되지 않습니다. 그래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에 비해서는 구강 질환의 진행을 조금이라도 늦추는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이미지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문종선 원장/ 사진=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제공
경력사항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대표원장
한국동물병원협회 이사
前)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서울 신사점 진료과장
前)스카이동물의료센터 인천점 부원장
前)스카이동물의료센터 계양점 원장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