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몸 컨디션 따라 소변 색깔 달라져… 전립선·간 문제 있을 땐?

김서희 기자

소변으로 알아보는 건강 상태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건강한 사람의 소변은 대개 연한 노란색이나 황갈색을 띤다. 소변 색이 갑자기 달라졌다면 몸에 이상이 생긴 것일 수 있다. 소변 색깔에 따른 의심 질환을 알아본다.

◇탁한 색
소변이 탁하면 이물질이 섞인 것이다. 고기를 많이 먹으면 일시적으로 인 성분이 섞여 탁해질 수 있고, 전립선이나 방광에 염증이 있으면 고름이 섞여 탁해진다. 방광염 환자의 소변에는 염증세포와 백혈구가 섞여 있다. 색깔이 탁하면서 소변을 참기 힘들거나, 아랫배가 뻐근하고, 소변 후에도 잔뇨감이 있고, 소변을 참을 수 없다면 방광염일 가능성이 높다.

◇짙은 노란색
소변 색깔이 지속해서 짙은 노락색을 띤다면 간 상태를 점검해봐야 한다. 간 기능이 저하되면 체내 노란빛을 띠는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지는데, 빌리루빈이 소변을 통해 배출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짙은 노란색 소변과 함께 황달 증세가 보인다면 간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요로감염증에 걸려도 짙은 노란색 소변을 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요로감염증은 소변이 통과하는 장기인 요로가 세균에 감염돼 생기는 질환이다. 다만, 음식을 짜게 먹거나, 비타민B, 혈액 응고를 막는 약물 등을 복용해도 일시적으로 짙은 노란색 소변을 볼 수 있다.


◇짙은 갈색
소변이 아주 짙은 갈색이라면 사구체신염을 의심할 수 있다. 사구체신염은 콩팥의 여과 부위인 사구체에 염증이 생겨 발생한다. 사구체신염은 빠른 치료가 중요하기 때문에 소변이 짙은 갈색을 띤다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또한 횡문근윤해증의 증상일 수도 있다. 횡문근융해증은 갑작스러운 고강도 운동이나 감염질환 등으로 횡문근(팔이나 다리 등 움직이는 부위에 붙어 있는 가로무늬 근육)이 손상되면서 세포 속의 마이오글로빈·칼륨·칼슘 등이 혈액으로 녹아드는 질환이다. 이는 급성신부전증(콩팥 기능의 급격한 장애를 보이는 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붉은색
붉은색 소변을 혈뇨라 부르는데, 소변에 비정상적인 양의 적혈구가 섞여 배설된 것이다. 혈뇨는 소변이 이동하는 통로인 요로계통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다. 상부 요로계인 신장·신우·요관 등에 출혈이 있으면 검붉은 색깔을, 하부 요로계인 방광·요도·전립선 등에 출혈이 있으면 붉은 색깔을 띤다. 무리한 운동이나 특정 약물 복용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으나 질병으로 인해 혈뇨를 보는 경우도 있다. 요로감염, 요로결석, 전립선비대증, 방광암·신장암·전립선암 등의 비뇨기암 등이 있으면 증상의 하나로 혈뇨가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혈뇨를 본다면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