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의학칼럼] 척추관협착증, 구멍 하나로 치료할 수 있다?

강서K병원 척추센터 김문규 원장(신경외과 전문의)

이미지

강서K병원 척추센터 김문규 원장(신경외과 전문의)
통증은 예고 없이 찾아온다. 소리 소문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허리와 다리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70대 A씨도 마찬가지였다. 운동을 좋아해 건강을 자부했지만, 언젠가부터 걸을 때마다 허리와 다리에 통증이 있고 걷다 보면 다리에 힘이 빠지는 느낌까지 든다고 말했다.

A씨는 전형적인 척추관협착증 증상을 보였다. 척추관협착증은 나이가 들면서 척추관이 좁아져 지나가는 신경을 압박해 허리 통증을 비롯해 다리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이다. 걷다 보면 허리를 펴는 게 힘들어 허리를 구부리고 걷는 경우가 많아 척추관협착증을 '꼬부랑 할머니병(할아버지병)'이라고도 부른다.

척추관협착증은 눕거나 앉아 있을 때는 별다른 증세가 없다가도 걷다 보면 허리나 다리에 통증이 나타나는데, 간혹 허리 자체의 통증은 없고 엉치나 다리에만 통증이 나타나기도 해 고관절 질환으로 오인하는 때도 더러 있다. A씨처럼 통증과 함께 다리나 발목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통증이 참을 만하다고 방치하는 환자가 적지 않다.

위와 같은 증상은 이미 협착증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만약 앉았다가 일어날 때 허리가 바로 펴지지 않거나 다리에 힘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거나 저린 경우, 앉아 있을 때보다 서 있거나 걷는 것이 불편하다면 더 늦기 전에 반드시 진료받아야 한다.

척추관협착증 증상 초기에는 약물치료과 주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로도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는 증상 완화에는 도움이 되나 증상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비수술적 치료에도 통증이나 저림, 다리 힘 빠짐과 같은 증상이 계속된다면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대표적인 척추관협착증 수술 방법으로는 척추 내시경수술이 있다. 척추 내시경을 이용해 좁아진 협착 부위를 넓히거나 협착 부위를 정확하게 제거하는 수술이다. 최소한의 절개를 통해 수술하기 때문에 주변 조직의 손상이 적고 환자의 회복 속도가 빨라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신마취를 하지 않기 때문에 고령의 환자나 고혈압, 당뇨과 같은 만성질환자도 수술할 수 있다.


척추내시경 수술은 단일공과 양방향으로 나눌 수 있는데, A씨의 경우 단일공 내시경수술을 시행하기로 했다. 단일공 내시경수술은 말 그대로 하나의 구멍을 통해 수술하는 방법으로 주로 병변 부위가 비교적 작고 접근이 쉬운 경우에 고려할 수 있다. A씨의 경우 병변 부위가 넓지 않아 단일공 내시경수술이 더욱더 효과적이라 판단했다.

단일공 내시경수술은 양방향 내시경수술에 비해 난도가 높지만, 내시경 기구(포트)의 지름에 따라 대략 1cm 내외 정도로 한곳만 절개하기 때문에 상처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또한 내시경을 통해 360도 돌려가며 병변 이곳저곳을 구석구석 볼 수 있고 한 번의 절개로 내시경과 기구가 동시에 들어가기 때문에 수술 과정이 비교적 빠르다.

단일공 내시경수술은 하나의 구멍만으로 수술을 할 수 있다는 매력이 있지만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데 있어 단순히 구멍의 개수만을 고려해서는 안 될 것이다. 각 수술법의 장점을 확실하게 인지하고 있는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나에게 맞는 수술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은 나이를 먹을수록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재발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진단 후에는 증상이 진행되지 않도록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이 칼럼은 강서K병원 척추센터 김문규 원장의 기고입니다.)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