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소소한 건강 상식] 응급 상황 때 ‘젤네일’ 뜯어낸다던데, 정말?

김서희 기자

이미지

그래픽=헬스조선
응급 상황에서 손톱은 환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생체지표다. 손톱에 네일아트가 돼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

산소포화도는 우리 몸 곳곳에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에 산소가 얼마나 결합(95~100% 정상)했는지 측정하는 검사다. 손톱 밑은 모세혈관이 가장 잘 보이는 부위라서 측정이 가능한데, 손톱 밑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방식으로 검사가 이뤄진다.


손톱에 젤네일이나 매니큐어가 발라져 있으면 빛 투과에 장애가 생기면서 정확한 산소포화도 측정이 어렵다. 매니큐어는 아세톤으로 쉽게 지워지기라도 하지만 젤네일은 물리적으로 떼어 내야 해 응급 상황에서는 이를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정확도가 떨어지더라도 손톱 대신 귓불이나 이마 등을 통해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다만 손톱을 뽑아야 하는 응급 상황도 있다. 산소포화도 측정과는 상관이 없고, 손톱이 다쳐서 손톱 밑에 연부 조직에 피가 고여(손톱 밑 혈종) 통증이 극심할 때다. 손톱 밑 연부조직에는 신경이 많아 조금만 압력이 있어도 통증이 심하다. 최근에는 손톱을 뽑는 대신 작은 구멍을 뚫어 피를 빼내는 손톱 천공도 많이 시행한다. 구멍을 뚫으면 압력이 줄면서 통증이 경감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