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최근 들어 소화불량 잦아졌다… 암 말고 '이것'부터 의심을

김서희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추위에 적응하지 못하는 몸은 우리에게 신호를 보낸다. 소화불량이 대표적인 예다. 추운 겨울에 유독 소화불량이 잦은 이유와 해결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저하된 위장 기능과 줄어든 활동량이 원인
날이 추우면 일시적으로 위장 기능이 저하된다. 소화 기능은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가 관장하는데, 이 신경계는 온도 변화에 특히 민감하다. 체감 기온이 떨어지면 체온을 올리기 위해 자율신경계 중 각성작용을 하는 교감신경이 활성화돼, 혈류가 열을 내는 근육 쪽으로 몰린다. 상대적으로 위장으로 가는 혈류는 줄어 위의 활동성이 감소한다. 소화를 촉진하는 부교감신경은 비활성화돼 소화 효소 분비도 준다. 위에 음식 등이 차 있으면 소화 불량이 유발된다. 장의 연동 작용도 감소해, 변비로도 이어진다.

추위로 신체 활동량이 감소하는 것도 소화 불량에 영향을 미친다. 식후 산책하던 사람도 추위로 바로 앉거나 누워만 있으면 오히려 소화 능력이 떨어진다. 가벼운 움직임이 장을 자극해 소화를 돕기 때문이다. 실제 복부 팽만 증상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식후 10~15분 걸었을 때 장내가스, 트림 등의 위장 문제가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몸 충분히 녹이고 식사해야 
겨울에 유독 소화불량 증세가 잦았던 사람이라면 외출할 때 최대한 따뜻하게 입는 것만으로도 소화불량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실외에서 실내에 들어온 후에는 바로 전열기구에서 몸을 녹이지 말고 자연스럽게 몸의 온도를 올리는 것이 좋다. 식사는 몸을 충분히 녹인 후 천천히 하는 것이 좋다. 맵거나 짠 음식을 피하고, 지방이 많은 음식은 위에서 배출되는 시간이 길어 소화불량을 악화할 수 있으므로 피한다. 적당한 신체활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한편 소화가 안 될 때 탄산음료를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소화장애가 더 심해질 수 있어 피하는 게 좋다. 탄산음료에는 설탕이 많이 들어 소화과정에서 발효되면서 오히려 가스를 더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다.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땐 음식을 오래 씹어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식후 곧바로 눕는 것도 피해야 한다. 위가 제대로 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