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퍼시픽 팰리세이즈에서 시작된 화재가 번지고 있는 가운데 할리우드 배우 세바스찬 해리슨(60)이 자택을 지키기 위해 불길 속에 갇혔다 구조된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9일(현지시각) 영국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할리우드 배우 세바스찬 해리슨은 지난 7일 밤 화재 소식을 접하고 LA 말리부에 있는 자택으로 갔다. 해리슨은 미국 B급 영화계의 베테랑 배우인 리처드 해리슨의 아들로, 주로 소자본 독립 영화에 출연한 배우로 알려졌다. 현재는 지역 무선통신사업체 ‘셀룰러 어브로드’를 이끄는 기업 대표다. 해리슨의 집은 그가 2010년 240만 달러(한화 약 35억 원)에 매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해리슨이 도착했을 때 집 가장자리까지 불씨가 옮겨붙은 상황이었다. 그는 우선 아버지 리처드 해리슨(89)을 구출해 대피시켰다. 당시 해당 지역에는 대피령이 떨어진 상태였지만, 해리슨은 집을 지키기 위해 대피령을 무시하고 집에 남았다. 그는 화재 진압을 위해 호스를 잡고 물을 끌어와 지붕에 뿌렸고, 야외 정원에 있던 가구들을 모두 옮겼다. 그러나 불길은 갈수록 거세져 해리슨도 탈출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그는 차를 타고 현장을 벗어나려 했으나 시동이 걸리지 않아 결국 불길 속에 고립됐다. 해리슨은 당시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해 SNS에 공개했다. 영상 속 그는 “바람이 불지 않다가 갑자기 엄청난 돌풍이 불더니 주변에 불꽃이 나타났다”며 “날아다니는 파편들 때문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지옥이다”고 말했다. 다행히 해리슨은 시동이 걸리는 차를 찾아내 현장에서 탈출했고, 이날 오후 9시 아내의 신고로 출동한 현지 소방 당국에 의해 간신히 구조됐다.
해리슨처럼 대피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산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장소(논밭, 학교, 공터, 마을회관 등)로 이동해야 한다. 산불의 확산 속도가 빠르고, 규모가 클 경우에는 연기가 없는 곳으로 바로 대피해야 한다. 산불이 계속 번져 위험에 처했다면 불이 지나간 타버린 장소, 낮은 장소, 도로, 바위 뒤 등으로 대피하고, 산불은 아래쪽에서 높은 쪽으로 불이 붙어 올라가기 때문에 산불보다 낮은 장소로 피한다. 대피할 때 이웃집 주민에게도 위험 상황을 알려주는 게 좋다. 그 외의 경우 소방서나 시청의 안내(대피 방송, 대피 명령)에 따라 행동한다. 대피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면 낮은 지역을 찾아 낙엽, 나뭇가지 등을 긁어내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어야 한다. 이동하는 과정에서 산불로 인한 연기나 재를 흡입하면 기침, 눈 염증, 호흡곤란, 발작 증세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피하는 동안 연기를 흡입하는 환경에 노출됐다면 젖은 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막고 호흡해야 한다.
한편, 입산 시에는 라이터, 담배 등의 화기물은 소지하지 않아야 한다. 허용된 지역 외 취사 및 야영도 금지다. 산림 인접 지역의 쓰레기 소각이나 논, 밭두렁 태우기도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달리는 열차나 자동차에서 창밖으로 담뱃불을 버리는 행위도 해선 안 된다.
지난 9일(현지시각) 영국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할리우드 배우 세바스찬 해리슨은 지난 7일 밤 화재 소식을 접하고 LA 말리부에 있는 자택으로 갔다. 해리슨은 미국 B급 영화계의 베테랑 배우인 리처드 해리슨의 아들로, 주로 소자본 독립 영화에 출연한 배우로 알려졌다. 현재는 지역 무선통신사업체 ‘셀룰러 어브로드’를 이끄는 기업 대표다. 해리슨의 집은 그가 2010년 240만 달러(한화 약 35억 원)에 매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해리슨이 도착했을 때 집 가장자리까지 불씨가 옮겨붙은 상황이었다. 그는 우선 아버지 리처드 해리슨(89)을 구출해 대피시켰다. 당시 해당 지역에는 대피령이 떨어진 상태였지만, 해리슨은 집을 지키기 위해 대피령을 무시하고 집에 남았다. 그는 화재 진압을 위해 호스를 잡고 물을 끌어와 지붕에 뿌렸고, 야외 정원에 있던 가구들을 모두 옮겼다. 그러나 불길은 갈수록 거세져 해리슨도 탈출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그는 차를 타고 현장을 벗어나려 했으나 시동이 걸리지 않아 결국 불길 속에 고립됐다. 해리슨은 당시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해 SNS에 공개했다. 영상 속 그는 “바람이 불지 않다가 갑자기 엄청난 돌풍이 불더니 주변에 불꽃이 나타났다”며 “날아다니는 파편들 때문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지옥이다”고 말했다. 다행히 해리슨은 시동이 걸리는 차를 찾아내 현장에서 탈출했고, 이날 오후 9시 아내의 신고로 출동한 현지 소방 당국에 의해 간신히 구조됐다.
해리슨처럼 대피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산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장소(논밭, 학교, 공터, 마을회관 등)로 이동해야 한다. 산불의 확산 속도가 빠르고, 규모가 클 경우에는 연기가 없는 곳으로 바로 대피해야 한다. 산불이 계속 번져 위험에 처했다면 불이 지나간 타버린 장소, 낮은 장소, 도로, 바위 뒤 등으로 대피하고, 산불은 아래쪽에서 높은 쪽으로 불이 붙어 올라가기 때문에 산불보다 낮은 장소로 피한다. 대피할 때 이웃집 주민에게도 위험 상황을 알려주는 게 좋다. 그 외의 경우 소방서나 시청의 안내(대피 방송, 대피 명령)에 따라 행동한다. 대피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면 낮은 지역을 찾아 낙엽, 나뭇가지 등을 긁어내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어야 한다. 이동하는 과정에서 산불로 인한 연기나 재를 흡입하면 기침, 눈 염증, 호흡곤란, 발작 증세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피하는 동안 연기를 흡입하는 환경에 노출됐다면 젖은 수건 등으로 입과 코를 막고 호흡해야 한다.
한편, 입산 시에는 라이터, 담배 등의 화기물은 소지하지 않아야 한다. 허용된 지역 외 취사 및 야영도 금지다. 산림 인접 지역의 쓰레기 소각이나 논, 밭두렁 태우기도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달리는 열차나 자동차에서 창밖으로 담뱃불을 버리는 행위도 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