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이미지
배우 채정안(47)이 피부 관리를 위해 실내에서도 자외선 차단제를 발랐다./사진=유튜브 채널 ‘채정안TV’ 캡처
배우 채정안(47)이 피부 관리를 위해 실내에서도 자외선 차단제를 발랐다.

지난 9일 유튜브 채널 ‘채정안TV’에는 ‘배우 채정안은 연말에 무얼 했을까? 초밀착 취재해봤습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이날 영상에서 채정안은 전날 생일파티에서 술을 마셔 숙취에 시달렸다. 하지만 숙취에도 불구하고 쉬지 않고 관리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채정안은 “집이 너무 눈부셔서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숙취로 제일 좋아하는 모닝 루틴인 사과에 피넛버터 먹는 시간도 못 가졌다”며 “해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채정안처럼 피부 건강을 위해서는 실내에서도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게 좋다. 창문이 뚫고 들어오는 자외선A의 공격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자외선 A는 피부 건강을 해치는 주범으로, 피부 탄력을 유지해주는 콜라겐을 파괴하며 기미를 유발한다. 피부 노화 예방에 가장 중요한 것이 자외선을 막는 것이다. 창문이 어느 정도 자외선을 막아 준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자외선은 창문을 쉽게 통과해 피부까지 닿는다. 심지어 얇거나 밝은색의 커튼도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자외선차단제는 한 번에 두껍게 바르는 것보다는 여러 번에 걸쳐 구석구석 꼼꼼히 펴 바르는 게 좋다. 자주 덧발라야 피부에 충분히 흡수되고, 피부 위에서 보호막처럼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눈 주위의 피부는 얇고 피지 분비량이 적어 자외선으로 인해 기미나 주름이 생기기 쉬워 신경 써서 발라야 한다. 또한, 자외선차단제는 피부가 햇빛에 노출되기 30분 전에 발라야 효과가 좋다. 자외선차단제의 효과가 바르자마자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외출 후에도 피지와 땀으로 인해 자외선차단제가 지워질 수 있어 2~3시간 단위로 덧발라주는 게 좋다.

한편, 자외선 차단제의 제형은 다양하다. 크게 크림, 로션, 스프레이 등의 형태로 판매된다. 크림 타입은 흡수력과 사용감, 차단력이 뛰어나 물에 강하다. 해수욕 등의 야외 활동 용도에 적합하다. 로션 타입은 산뜻하고 가벼운 질감으로 피부에 바르기 쉽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스프레이 타입은 손이 깨끗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바를 수 있기 때문에 야외 활동에 알맞지만, 편리함과 동시에 뿌리면서 많은 양이 날아가 큰 효과를 보기에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