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케일리 머트하트(20)는 메스암페타민을 과도하게 투여해 몇 시간 동안 환각에 빠졌는데, 이때 스스로 눈을 없애는 사고가 발생했다. 의안을 이식한 머트하트 모습(왼쪽)과 의안 이식 전 입원했던 머트하트 모습(오른쪽)./사진=피플, 데일리메일
미국 20대 여성이 마약에 취해 스스로 안구를 적출한 사연이 전해져 충격을 일으켰다.

지난 13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케일리 머트하트(20)는 17살 때 학교를 자퇴하면서 파티와 마약을 즐기는 친구들과 어울리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마약에 중독됐고 그의 어머니는 재활 시설에 들어갈 것을 권고했다. 재활 시설에 들어가기 며칠 전 머트하트는 메스암페타민을 과도하게 투여해 몇 시간 동안 환각에 빠졌고 각성 상태를 보였다.

그는 당시에 대해 “눈을 뽑아야 한다는 강한 충동이 들었다”며 “약 때문에 통증도 잘 안 느껴졌고 눈을 뽑아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고 말했다. 머트하트는 통증을 못 느꼈지만, 눈이 사라지면서 불빛이 안 보여 소리를 질렀다고 한다. 그의 비명을 들은 이웃은 머트하트의 집에 찾아왔고 상처 난 얼굴과 손에 든 안구를 확인하자마자 그를 병원에 데려갔다.

병원에서 머트하트는 곧바로 수술을 받았다. 의료진은 시신경을 보존하고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빠르게 남은 안구 잔여물을 제거했다. 이후 머트하트는 의안을 이식하는 수술을 받았지만, 시력을 완전히 잃은 채 살아야 한다. 머트하트는 “기타를 치거나 피아노를 치는 등 내가 원래 좋아하던 취미를 하기 어려워졌지만 난 여전히 낙관적이다”라며 “마약에 의존하는 것보다 이렇게 안 보이는 게 더 낫다 생각한다”고 말했다.

머트하트는 마약 중독에 빠지게 된 계기에 대해 19살 때 처음 흡연한 메스암페타민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친구가 메스암페타민을 잔뜩 줬었다”며 “그 기분을 느끼고 싶어 계속 흡연하게 됐고 투여하는 지경까지 이르렀다”라고 말했다. 머트하트는 현재 자신의 이야기를 알리며 마약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머트하트를 실명까지 이르게 한 메스암페타민계 약물은 중독성이 마약 중에서도 강력하다. 체내에 0.03mg만 투여해도 쾌감 호르몬인 도파민이 평소보다 수천 배 많이 분비돼 빠르게 중독된다. 이 상태는 72시간까지 지속된다. 일반 성인에게서 평소 분비되는 도파민의 총량보다 많은 수치로, 이 과정에서 뇌가 망가진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대 정신의학과 리처드 로슨 교수는 우리 뇌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정도의 쾌락 상황에서 분비하는 도파민의 적정한 수준을 100%로 설정하고 관련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그 결과, 메스암페타민을 투여하게 되면 도파민 분비량이 무려 1250%까지 치솟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메스암페타민계 마약 중독자가 흔히 겪는 증상으로는 ‘메스 버그(meth bug)’가 있다. 메스 버그는 메스암페타민계 약물을 뜻하는 메스(meth)와 벌레(bug)의 합성어다. 피부 위에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환각을 느껴 심한 상처가 날 정도로 피부를 긁는 것을 말한다. 통상 한두 번 투약한 중독자보다 오랫동안 주사를 해온 중독자들에게 나타난다. 메스암페타민계 약물의 대표주자인 필로폰은 투약자의 뇌를 손상시키고 팔다리에 개미가 기어다니는 것 같은 환각 작용을 일으킨다. 이때 필로폰은 일본 제약회사의 상표명일 뿐, 정식 명칭은 메스암페타민이라고 불러야 한다.

마약에 중독되면 내성이 생겨 중독성이 더 강한 마약을 찾는다. 금단 증상의 괴로움도 심하다. 초기 금단 증상은 보통 일주일~한 달 사이에 나타나는데, ▲탈진 ▲복통 ▲두통 ▲환시 ▲환각 ▲수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외에도 살 빠짐, 손발 저림 현상, 치아 통증, 탈모 등 금단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마약은 중독성이 극도로 높아 혼자 끊기 어렵다. 마약에서 벗어나려면 의학적인 치료와 함께 지역 사회 복귀를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 치료시설과 재활 시설, 교정 시설이 함께 맞물려 돌아가야 마약 중독 재활 시스템이 잘 갖춰졌다고 평가 받는다. 마약 중독 환자는 병원에서 해독 치료와 함께 우울증, 불면증 등 동반 질환을 치료받는다. 치료 후에는 다시 마약을 투약하지 않도록 상담 센터·재활센터 등으로 인계돼야 마약을 끊어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