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질환들

'여성 질환'하면 주로 유방이나 난소에 생긴 질환만 떠올린다. 부인과 질환 외에도 호르몬 등의 이유로 여성에게 특히 잘 생기는 질환들이 있다. 특히 폐경 이후 급격한 호르몬 변화를 겪으며 각종 질환 위험이 높아지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 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많은 질환을 알아봤다.
◇갑상선 질환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해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성은 임신, 출산, 폐경 등 호르몬 변화 주기를 겪으면서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남성보다 갑상선 질환에 취약해진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8년 진료 기록을 분석해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은 질병을 30개 꼽았을 때 그중 다섯 가지가 갑상선과 관련된 질환이었다. 구체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 수가 5.3배, 갑상선암 환자 수는 4.5배 높았다. 남성보다 갑상선 질환의 발병률은 높지만, 예후는 남성보다 좋아 수술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더 적다.
◇무릎관절염·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 등으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2.3배나 많다고 알려졌다. 이유는 여러 가지로 추측되는데, 우선 폐경 이후 여성은 호르몬 변화로 인해 연골이 약해진다. 또한 여성은 남성보다 골반이 넓고, 무릎이 안쪽으로 들어간 ‘X’자 다리 형태인 경우가 많아 무릎 부상에 약하다. 쪼그려 앉아 가사 노동을 많이 하는 것도 원인 중 하나다. 특히 폐경 이후 여성에게서 호르몬 감소로 인해 골밀도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골다공증 위험도 증가한다. 2023년 골다공증 환자 수는 여성이 95.6%를 차지했다. 뼈가 약해지면 골절로 이어지기도 쉽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뼈 건강에 주의가 필요하다.
◇갑상선 질환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해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성은 임신, 출산, 폐경 등 호르몬 변화 주기를 겪으면서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남성보다 갑상선 질환에 취약해진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8년 진료 기록을 분석해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은 질병을 30개 꼽았을 때 그중 다섯 가지가 갑상선과 관련된 질환이었다. 구체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 수가 5.3배, 갑상선암 환자 수는 4.5배 높았다. 남성보다 갑상선 질환의 발병률은 높지만, 예후는 남성보다 좋아 수술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더 적다.
◇무릎관절염·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 등으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2.3배나 많다고 알려졌다. 이유는 여러 가지로 추측되는데, 우선 폐경 이후 여성은 호르몬 변화로 인해 연골이 약해진다. 또한 여성은 남성보다 골반이 넓고, 무릎이 안쪽으로 들어간 ‘X’자 다리 형태인 경우가 많아 무릎 부상에 약하다. 쪼그려 앉아 가사 노동을 많이 하는 것도 원인 중 하나다. 특히 폐경 이후 여성에게서 호르몬 감소로 인해 골밀도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골다공증 위험도 증가한다. 2023년 골다공증 환자 수는 여성이 95.6%를 차지했다. 뼈가 약해지면 골절로 이어지기도 쉽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뼈 건강에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정맥류
하지정맥류도 여성에게 2배 이상 많은 질환이다. 하지정맥류는 다리 정맥의 혈류 이상으로 혈관이 튀어나오거나 다리가 저리거나 아픈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다. 2023년 여성 환자 수는 17만3636명, 남성 환자 수는 7만7440명이었다. 임산과 출산이 하지정맥류의 대표적인 위험 요인이다. 임신 중에는 자궁이 커지면서 하반신에 피가 원활하게 흐르지 않는다. 출산 후 나아지기도 하지만, 그대로 남아 점차 악화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다리에 울퉁불퉁한 혈관이 나타난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다. 심하지 않다면 잘 때 다리 밑에 베개를 올려두거나, 자주 다리를 마사지하는 게 도움이 된다.
◇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도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2023년 '눈물계통의 장애(안구건조증, 누낭염 등)' 여성 환자 수는 178만1270명으로, 남성(91만2155명)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눈물 분비 역시 호르몬과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받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생리 주기가 불규칙한 여성은 안구건조증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나경선 교수팀은 논문에서 "생리불순 여성은 성호르몬의 분비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기미
피부 색소 질환인 기미는 여성에게 훨씬 많이 발생한다. 2023년 기미로 피부과에 방문한 남성 환자 수는 336명인 것에 비해, 여성 환자 수는 2614명으로 7배 이상 높았다. 기미의 주원인은 자외선이지만, 호르몬 변화의 영향도 받아서다. 여성호르몬 분비가 늘어나는 30~40대에 증상이 심해지지만, 폐경 이후엔 진정된다. 임산부나 피임약 복용자에게도 기미가 자주 생기며 스트레스로 인해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길 때도 기미가 심해질 수 있다. 기미를 예방하려면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바르는 것과 함께 평소 적절한 휴식과 수면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하지정맥류도 여성에게 2배 이상 많은 질환이다. 하지정맥류는 다리 정맥의 혈류 이상으로 혈관이 튀어나오거나 다리가 저리거나 아픈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다. 2023년 여성 환자 수는 17만3636명, 남성 환자 수는 7만7440명이었다. 임산과 출산이 하지정맥류의 대표적인 위험 요인이다. 임신 중에는 자궁이 커지면서 하반신에 피가 원활하게 흐르지 않는다. 출산 후 나아지기도 하지만, 그대로 남아 점차 악화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다리에 울퉁불퉁한 혈관이 나타난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다. 심하지 않다면 잘 때 다리 밑에 베개를 올려두거나, 자주 다리를 마사지하는 게 도움이 된다.
◇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도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2023년 '눈물계통의 장애(안구건조증, 누낭염 등)' 여성 환자 수는 178만1270명으로, 남성(91만2155명)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눈물 분비 역시 호르몬과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받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생리 주기가 불규칙한 여성은 안구건조증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나경선 교수팀은 논문에서 "생리불순 여성은 성호르몬의 분비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기미
피부 색소 질환인 기미는 여성에게 훨씬 많이 발생한다. 2023년 기미로 피부과에 방문한 남성 환자 수는 336명인 것에 비해, 여성 환자 수는 2614명으로 7배 이상 높았다. 기미의 주원인은 자외선이지만, 호르몬 변화의 영향도 받아서다. 여성호르몬 분비가 늘어나는 30~40대에 증상이 심해지지만, 폐경 이후엔 진정된다. 임산부나 피임약 복용자에게도 기미가 자주 생기며 스트레스로 인해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길 때도 기미가 심해질 수 있다. 기미를 예방하려면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바르는 것과 함께 평소 적절한 휴식과 수면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