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美 17세 유명 배우, 노숙 근황 공개… “집에서 학대 당했다” 무슨 일?
임민영 기자
입력 2024/12/05 00:20
[해외토픽]
디즈니+ 드라마 ‘로키’에서 키드 로키 역을 맡아 이름을 알린 배우 잭 빌(17)이 노숙 중인 근황을 알려 팬들의 걱정을 샀다.
지난 2일(현지시각) 잭 빌은 자신의 틱톡 계정에 자신의 근황을 알리는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서 그는 “안녕하세요, 저는 유명한 배우이면서 17살이고, 노숙자이기도 합니다”라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그는 “제 개인사에 대해서 여러분께 공개한 적이 별로 없긴 한데, 이젠 진실을 알릴 때인 것 같다”라며 “거두절미하고 저는 집에서 신체적·정신적 학대를 당했다”고 말했다. 빌은 “가정환경이 좋지 않았고, 여러 정신 질환 문제를 겪고 있다”라며 “자폐증, ADHD를 앓고 있고, 양극성 장애 등 정신병에 대한 검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갈 곳 없고, 도움이 필요하다”며 “거리에서 잠을 자고 있고, 현재는 창문이 깨진 트레일러에서 자고 있는데, 안전하지 않다”고 했다. 영상 말미에서 그는 “이 영상을 보고 있다면 제발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다”며 “금전적인 걸 말하는 게 아니라, 그저 이 영상이 많이 퍼져 도움을 받을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이 영상이 많은 관심을 받자, 사회복지기관은 그를 지원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정신질환 발병 위험 커져
가정폭력을 겪은 피해 아동 2명 중 1명은 정신질환에 시달린다. 2015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학대 피해 아동의 50.8%가 한 가지 이상의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다. 2018년 진행된 영국 버밍엄대 연구에 따르면 가정폭력을 겪은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중증 정신질환이 발병할 위험이 4배 더 컸다.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인 정신질환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23%),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21.3%), 우울장애·적대적 반항장애(16.4%)였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산만함과 과잉행동이 주요 증상이며,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는 심각한 외상을 겪은 후에 나타나는 불안 장애를 말한다. 우울장애는 우울감과 의욕 저하가 나타나며, 적대적 반항장애는 거부적·적대적·반항적 행동 양상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돼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준다.
◇간·폐 안 좋다는 보고도
가정폭력 피해를 입으면 간염이 발병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소속 연구팀은 ACES(Adverse Childhood Experience Study)를 진행해 유아기 학대 경험과 성인기 건강의 연관성을 연구했다. 연구진은 성인 1만7500명을 대상으로 어린 시절 트라우마를 구체적인 ACE 점수로 측정했다. 어린 시절 트라우마에는 육체적·정신적·성적인 학대, 신체적·정신적 방치, 가정폭력 등이 포함됐다. 각 항목에 해당될 때마다 ACE 점수는 1점씩 더해졌다. 연구진은 ACE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적 건강이 안 좋다는 것을 확인했다. 실제로 ACE 점수가 4점인 사람은 0점인 사람보다 간염에 걸릴 확률이 2.5배 높았다. 이는 어릴 적부터 폭력이나 방치를 겪으면 다른 사람들보다 흡연, 음주 등을 많이 할 경향이 높다는 점에서 비롯됐다. 이외에도 만성폐쇄성폐질환에 걸릴 상대적 위험도도 2.5배 더 높았다.
지난 2일(현지시각) 잭 빌은 자신의 틱톡 계정에 자신의 근황을 알리는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서 그는 “안녕하세요, 저는 유명한 배우이면서 17살이고, 노숙자이기도 합니다”라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그는 “제 개인사에 대해서 여러분께 공개한 적이 별로 없긴 한데, 이젠 진실을 알릴 때인 것 같다”라며 “거두절미하고 저는 집에서 신체적·정신적 학대를 당했다”고 말했다. 빌은 “가정환경이 좋지 않았고, 여러 정신 질환 문제를 겪고 있다”라며 “자폐증, ADHD를 앓고 있고, 양극성 장애 등 정신병에 대한 검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갈 곳 없고, 도움이 필요하다”며 “거리에서 잠을 자고 있고, 현재는 창문이 깨진 트레일러에서 자고 있는데, 안전하지 않다”고 했다. 영상 말미에서 그는 “이 영상을 보고 있다면 제발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다”며 “금전적인 걸 말하는 게 아니라, 그저 이 영상이 많이 퍼져 도움을 받을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이 영상이 많은 관심을 받자, 사회복지기관은 그를 지원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정신질환 발병 위험 커져
가정폭력을 겪은 피해 아동 2명 중 1명은 정신질환에 시달린다. 2015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학대 피해 아동의 50.8%가 한 가지 이상의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다. 2018년 진행된 영국 버밍엄대 연구에 따르면 가정폭력을 겪은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중증 정신질환이 발병할 위험이 4배 더 컸다.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인 정신질환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23%),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21.3%), 우울장애·적대적 반항장애(16.4%)였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산만함과 과잉행동이 주요 증상이며,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는 심각한 외상을 겪은 후에 나타나는 불안 장애를 말한다. 우울장애는 우울감과 의욕 저하가 나타나며, 적대적 반항장애는 거부적·적대적·반항적 행동 양상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돼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준다.
◇간·폐 안 좋다는 보고도
가정폭력 피해를 입으면 간염이 발병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소속 연구팀은 ACES(Adverse Childhood Experience Study)를 진행해 유아기 학대 경험과 성인기 건강의 연관성을 연구했다. 연구진은 성인 1만7500명을 대상으로 어린 시절 트라우마를 구체적인 ACE 점수로 측정했다. 어린 시절 트라우마에는 육체적·정신적·성적인 학대, 신체적·정신적 방치, 가정폭력 등이 포함됐다. 각 항목에 해당될 때마다 ACE 점수는 1점씩 더해졌다. 연구진은 ACE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적 건강이 안 좋다는 것을 확인했다. 실제로 ACE 점수가 4점인 사람은 0점인 사람보다 간염에 걸릴 확률이 2.5배 높았다. 이는 어릴 적부터 폭력이나 방치를 겪으면 다른 사람들보다 흡연, 음주 등을 많이 할 경향이 높다는 점에서 비롯됐다. 이외에도 만성폐쇄성폐질환에 걸릴 상대적 위험도도 2.5배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