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이미지
100억 원대 자산가였던 원로배우 한지일(76)의 근황이 공개됐다./사진=MBN ‘특종세상’ 캡처
100억 원대 자산가였던 원로배우 한지일(76)의 근황이 공개됐다.

지난 7일 방송된 MBN ‘특종세상’에 출연한 한지일은 영화 제작‧호텔 등 사업에 연이어 실패하면서 전 재산을 잃었다고 밝혔다. 이후 현재 기초생활수급자로 11평 임대 아파트에서 생활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톱스타가 땅에 팍 떨어지면 얼마나 괴로운 줄 아냐”며 “스타들이 자꾸 죽는 이유가 뭔지 아냐”고 말했다. 이어 “인생 파장이 심했다”며 “아버지를 모른 채 태어났지만, 어머니와 이모의 보살핌 속에서 금수저로 살았고, 미국에서 어려운 생활도 하다가 고국에서 부귀영화도 누려봤고 바닥도 쳤다”고 말했다. 최근까지 일용직을 전전하다 거동이 불편해졌다는 그는 “며칠 자고 나면 돌아가셨다는 소식만 들어온다”며 휴대폰 벨 소리도 두려워했다. 또, 故 배우 김수미의 빈소를 찾은 그는 “저도 이제 마지막을 준비하고 있다”며 “내가 이 조그만 집에서 고독사해서 발견을 못 했을 때 그게 가장 두렵다”고 말했다.

한지일이 걱정하는 것처럼 실제로 고독사 사망자 수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보건복지부다 2017~2021년 고독사 사망자 수를 조사한 결과, 2017년 2412명이던 고독사 사망자 수는 2020년 3279명, 2021년 3378명으로 늘었다. 전체 사망자 수에서 고독사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약 1% 내외다. 고독사를 걱정하는 연령은 다양했다. 한국보건사회 연구원이 ‘2022년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 연구’에 따르면, 본인의 고독사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19~29세 평균 29.58% ▲30대 평균 39.53% ▲40대 평균 33.16% ▲50대 평균 32.01% ▲60대 이상 평균 29.84%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늘어나는 고독사에 대응하기 위해 종로구는 2021년 ‘함께 사는 세상’이란 고독사 예방 캠페인을 진행하며, 사회적으로 고립된 주민을 발굴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배포하기도 했다.

종로구는 ▲우편함이나 집 앞에 전단지, 홍보물, 신문, 우편물 등이 쌓여있음 ▲현관, 현관 주변, 문고리 등에 먼지가 쌓여있음 ▲집주변에 파리, 구더기 등 벌레가 보이고 악취가 남 ▲대낮에도 불이 켜져 있거나 저녁에도 불이 켜지지 않음 ▲며칠 동안 TV가 켜져 있거나, 창문‧현관문 등이 계속 열려 있음 ▲빨래가 마른 상태로 며칠째 방치되고 있음 ▲밖에 나오지 않고 배달 음식, 식료품 등으로 식사를 해결함 ▲쓰레기에 술병이 많이 보임 ▲가스비, 관리, 월세 등이 밀림 ▲집 밖으로 나온 흔적이 보이지 않음 ▲1인 가구이며, 주변에서 살고는 있는데 본 적이 없다고 말함 ▲이외에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이유가 있음 중 2개 이상에 해당될 경우 사회적으로 고립된 이웃일 수 있으니 동주민센터로 연락할 것을 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