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네덜란드 트램펄린 선수가 훈련 중 전신마비로 이어질 뻔한 사고를 겪었다.
지난 3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트램펄린 선수는 훈련 중 예상보다 일찍 착지하면서 허리가 뒤로 접혔다. 허리뼈가 골절됐지만, 다행히 척수 손상으로 이어지지 않아 전신마비를 피할 수 있었다. 이 선수는 곧바로 회복했고, 부상 당시의 영상을 공개해 많은 사람에게 충격을 일으켰다.
이번 사고에 대해 미국의 신경외과이자 ‘Dr. Z’로 알려진 의사는 “이런 부상은 혈관 파열이나 심한 경우 완전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며 “물론 이 선수는 트램펄린 프로 선수이지만, 언제나 부상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네덜란드 트램펄린 선수가 겪은 부상이 ‘과신전 부상’이라고 설명했다. Dr. Z는 “몸이 반으로 접힌 셈이다”라며 “척수 손상으로 이어질 위험이 큰 부상 종류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행히 허리뼈만 부러지고 척수는 다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척수는 척추 내에 있는 중추신경이다. 척수는 외상이나 감염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척수가 손상되면 뇌와 신체 사이에 신경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운동, 감각 등의 마비로 이어진다. 네덜란드 선수가 겪은 과신전은 허리, 무릎, 팔꿈치 등에서 몸이 펼쳐지는 범위가 정상을 넘어선 상태를 말한다.
한편, 트램펄린을 이용하면 높은 위치에서 다양한 동작을 반복해 지방 연소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다. 특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도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고 할 수 있다. 트램펄린의 그물 매트가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다만, 선수가 아닌 일반 사람들도 트램펄린을 이용하다 부상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어린아이들의 경우 여러 명이 함께 트램펄린 위에서 뛰다가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골다공증 위험이 높은 중년 여성들도 등을 구부정하게 숙인 채 트램펄린의 반동만으로 뛰면 반복적인 충격으로 인해 골절상을 입을 수 있다.
지난 3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트램펄린 선수는 훈련 중 예상보다 일찍 착지하면서 허리가 뒤로 접혔다. 허리뼈가 골절됐지만, 다행히 척수 손상으로 이어지지 않아 전신마비를 피할 수 있었다. 이 선수는 곧바로 회복했고, 부상 당시의 영상을 공개해 많은 사람에게 충격을 일으켰다.
이번 사고에 대해 미국의 신경외과이자 ‘Dr. Z’로 알려진 의사는 “이런 부상은 혈관 파열이나 심한 경우 완전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며 “물론 이 선수는 트램펄린 프로 선수이지만, 언제나 부상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네덜란드 트램펄린 선수가 겪은 부상이 ‘과신전 부상’이라고 설명했다. Dr. Z는 “몸이 반으로 접힌 셈이다”라며 “척수 손상으로 이어질 위험이 큰 부상 종류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행히 허리뼈만 부러지고 척수는 다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척수는 척추 내에 있는 중추신경이다. 척수는 외상이나 감염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척수가 손상되면 뇌와 신체 사이에 신경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운동, 감각 등의 마비로 이어진다. 네덜란드 선수가 겪은 과신전은 허리, 무릎, 팔꿈치 등에서 몸이 펼쳐지는 범위가 정상을 넘어선 상태를 말한다.
한편, 트램펄린을 이용하면 높은 위치에서 다양한 동작을 반복해 지방 연소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다. 특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도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고 할 수 있다. 트램펄린의 그물 매트가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다만, 선수가 아닌 일반 사람들도 트램펄린을 이용하다 부상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어린아이들의 경우 여러 명이 함께 트램펄린 위에서 뛰다가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골다공증 위험이 높은 중년 여성들도 등을 구부정하게 숙인 채 트램펄린의 반동만으로 뛰면 반복적인 충격으로 인해 골절상을 입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