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에서 열린 북미척추학회(NASS 2024)에서 라이브 수술 시연과 한국관 운영 등을 통해 한국 의료기기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NASS 2024는 연례 개최되는 북미척추학회 학술대회다. 참석자 중 대다수가 의료진으로, 척추 분야에서 권위있는 다양한 국가의 신경 및 정형외과 의료진이 참여해 최신 술기 및 지식을 공유한다. 보산진은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지원센터와 연계해 한국 제품을 활용한 술기 시연과 전시를 했고, 의사들과 함께 한국 의료기기 및 기술 우수성을 널리 알렸다.
라이브 수술은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가 주관하고 보산진이 후원했으며, 시지바이오와 큐렉소가 참여했다. 시연은 총 6명의 의료진과 3개의 한국 기업이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을 선보였다. 약 290명의 참관객이 한국의 혁신적인 기술력을 직접 체험했다. 주제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확장형 케이지와 골형성단백질을 이용한 추간공 경유 요추체간 골유합술로 진행됐다. 미국, 독일 기업 위주로 참여했던 라이브 수술 프로그램에 올해 한국이 최초로 시연한 것은 한국 기업과 의료기술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시술은 한국이 개발한 술기로, 허리에 7mm 정도의 작은 구멍 2개를 통해 내시경과 수술 기구를 삽입해 환부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단방향 내시경과 달리 넓은 시야와 다양한 각도를 확보해 최소한의 절개로 조직 손상과 통증을 줄일 수 있다.
이번 시연은 실시간 Q&A 형식으로, 의료진의 설명과 참가자들의 다양한 질문이 오갔다. 참여 의료진은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김진성 교수 ▲UC Irvine의 Don Y. Park 교수 ▲청담 해리슨 병원 허동화 원장 ▲충남대병원 이호진 교수 ▲대전우리병원 박철웅 원장 ▲세브란스 병원 이성 교수로 구성됐다. 시연에는 시지바이오의 높이 확장형 케이지, 큐렉소의 수술 로봇, 텍코드의 내시경 기구가 사용됐다.
한편, 한국관은 총 6개사가 참가해 상담 62건(1468천 달러), 이 중 계약 추진액 535천 달러의 성과를 보였다. 특히 한국관 내에서 참가 기업 제품들이 실제 사용 경험이 있는 한국 의료진의 발표와 시연을 통해 학술적 신뢰도와 제품 홍보 효과를 높였다. 또한, 9월 26일에는 K-SpineTech Nexus : Korea Connect Night 행사를 통해 현지 의료진, 간호사, NASS Committee 위원 등 총 52명이 참석해 다양한 49교류의 장을 마련했다.
보산진 의료기기화장품산업단 황성은 단장은 "이번 NASS 2024는 단순히 제품 전시를 넘어, 한국 정부와 학회, 의료기기 기업, 의료진 간의 협력을 통해 이룬 성과였다"며 "한국 척추 술기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기회였고, 한국 의료기기 기업들의 기술력을 인정받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NASS 2024는 연례 개최되는 북미척추학회 학술대회다. 참석자 중 대다수가 의료진으로, 척추 분야에서 권위있는 다양한 국가의 신경 및 정형외과 의료진이 참여해 최신 술기 및 지식을 공유한다. 보산진은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지원센터와 연계해 한국 제품을 활용한 술기 시연과 전시를 했고, 의사들과 함께 한국 의료기기 및 기술 우수성을 널리 알렸다.
라이브 수술은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가 주관하고 보산진이 후원했으며, 시지바이오와 큐렉소가 참여했다. 시연은 총 6명의 의료진과 3개의 한국 기업이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을 선보였다. 약 290명의 참관객이 한국의 혁신적인 기술력을 직접 체험했다. 주제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확장형 케이지와 골형성단백질을 이용한 추간공 경유 요추체간 골유합술로 진행됐다. 미국, 독일 기업 위주로 참여했던 라이브 수술 프로그램에 올해 한국이 최초로 시연한 것은 한국 기업과 의료기술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시술은 한국이 개발한 술기로, 허리에 7mm 정도의 작은 구멍 2개를 통해 내시경과 수술 기구를 삽입해 환부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단방향 내시경과 달리 넓은 시야와 다양한 각도를 확보해 최소한의 절개로 조직 손상과 통증을 줄일 수 있다.
이번 시연은 실시간 Q&A 형식으로, 의료진의 설명과 참가자들의 다양한 질문이 오갔다. 참여 의료진은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김진성 교수 ▲UC Irvine의 Don Y. Park 교수 ▲청담 해리슨 병원 허동화 원장 ▲충남대병원 이호진 교수 ▲대전우리병원 박철웅 원장 ▲세브란스 병원 이성 교수로 구성됐다. 시연에는 시지바이오의 높이 확장형 케이지, 큐렉소의 수술 로봇, 텍코드의 내시경 기구가 사용됐다.
한편, 한국관은 총 6개사가 참가해 상담 62건(1468천 달러), 이 중 계약 추진액 535천 달러의 성과를 보였다. 특히 한국관 내에서 참가 기업 제품들이 실제 사용 경험이 있는 한국 의료진의 발표와 시연을 통해 학술적 신뢰도와 제품 홍보 효과를 높였다. 또한, 9월 26일에는 K-SpineTech Nexus : Korea Connect Night 행사를 통해 현지 의료진, 간호사, NASS Committee 위원 등 총 52명이 참석해 다양한 49교류의 장을 마련했다.
보산진 의료기기화장품산업단 황성은 단장은 "이번 NASS 2024는 단순히 제품 전시를 넘어, 한국 정부와 학회, 의료기기 기업, 의료진 간의 협력을 통해 이룬 성과였다"며 "한국 척추 술기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기회였고, 한국 의료기기 기업들의 기술력을 인정받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