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대사이상으로 유발되는 비알코올성 지방 간질환은 국민의 20~30%가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지방간 지수가 매우 높으면,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젊은 층 열 명 중 한 명이 고도의 지방간 지수를 가지고 있고, 이들은 지방간을 앓지 않는 사람보다 급성심정지 위험이 55%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교수팀은 20~30대 젊은 성인에서 지방간이 있을 때 얼마나 급성심정지 위험이 증가하는지 확인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검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9년부터 2012년 사이에 검진을 받은 20~39세 성인 약 539만 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BMI(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GGT(간 기능 검사), 중성지방 수치로 지방간 지수를 계산해 지방간의 유무를 파악했다. 지방간 지수가 30 미만일 때 정상, 60 이상일 때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이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분석 결과, 15.5%가 중등도(30 이상~60 미만), 10%가 고도(60 이상)의 지방간 지수를 보였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의 평균 9.4년간 데이터를 추적·연구했다. 지방간 지수가 중등도인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급성심정지의 위험도가 15% 증가했고, 지방간 지수가 고도인 그룹에서는 위험도가 55% 급격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일 교수는 "젊은 성인에서 지방간과 관련한 급사는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며 “지방간 질환이 급성 심정지 위험이 직접적으로 올라갈 뿐 아니라,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 발병·진행 위험도 높여 급성 심정지 위험률이 더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지방간 질환이 있다면 대사·심혈관질환을 추적 관찰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Metabolism - Clinical and Experimental'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