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이 많이 겪는 질환 중 하나인 ‘터널증후군’은 흔히 손목에 생긴다고 알려졌다. 그런데, 터널증후군은 손목이 아닌, 발목이나 팔꿈치 등에도 발생할 수 있다. 부위별로 나타나는 터널증후군의 원인, 증상 등에 대해 알아봤다.
◇손목
손목 터널증후군은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손목 부위에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과 신경이 지나가며, 이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일종의 관(터널)이 있다. 손목을 많이 사용하면 손목 터널에 염증이 생기거나 근육·인대가 붓고, 정중신경이 압박돼 저림, 통증 등과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 직업 특성상 키보드를 많이 사용하는 등 반복적으로 손목을 구부리고 펴는 사람일수록 발생하기 쉽다. 골절로 인한 손목 변형, 관절 탈구, 종양 등이 원인일 수도 있다.
손목 터널증후군이 있으면 손바닥·손가락·손목에 통증과 함께 저림, 감각 이상 등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끼거나 엄지 근육이 위축돼 납작하게 변하기도 한다.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병원을 방문해 신경타진 검사, 수근굴곡검사, 정중신경 압박검사 등을 받는 것이 좋다. 손목 터널증후군을 예방하려면 잘못된 자세를 고치는 것이 우선이다. 손목에 가벼운 증상이 나타난다면 무리하게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소염제 복용이나 스테로이드 주사에도 증상이 지속·악화한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할 수 있다.
◇발목
무리하게 발목을 사용할 경우 ‘발목 터널증후군’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발목 터널증후군은 주변 부위 외상, 발목 혹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목 터널이 좁아지고 신경이 압박받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발목을 자주 접질리는 경우 ▲하지정맥류,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질환에 의해 신경 주위가 섬유화되는 경우 ▲족부 변형이 생긴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발목 터널증후군은 주로 발목이나 발바닥에 증상이 나타나며, 발바닥 감각이 무뎌지거나 타는 듯한 작열감·따끔거림을 느낀다. 특히 평소 발 저림이 지속되거나 발목의 운동 범위가 많이 줄었다면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발목 터널증후군은 족저근막염 등 다른 발목 질환들과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발목 터널증후군은 약물치료, 운동 재활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증상이 완화되지 않거나 신경 압박이 심하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발목 터널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평소 발목을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는 게 중요하다. 만약 발목 통증이 느껴지면 운동을 자제하고 오래 걷는 것도 피하는 게 좋다.
◇팔꿈치
팔꿈치 터널증후군은 팔꿈치를 구부릴 때 팔꿈치 안쪽 작은 터널 부위를 지나는 척골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압박성 신경병증으로, ‘척골신경포착증후군’이나 ‘주관증후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팔꿈치와 손목, 손가락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저리는 증상이 생긴다. 손에 힘을 주는 것도 어려워진다. 팔꿈치 터널증후군은 손목과 손가락에도 증상이 나타나 손목 터널증후군과 헷갈릴 수 있지만, 팔꿈치 터널증후군은 통증이 주로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집중되는 특징을 보인다.
팔꿈치 터널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팔꿈치를 구부리는 자세를 피해야 한다. 턱을 괴거나 팔꿈치를 접어 베고 자는 습관은 고친다. 잦은 휴대전화 사용, 장시간 운전 등도 주의해야 한다. 평소 직업 등으로 인해 팔꿈치를 자주 구부린다면 주기적으로 스트레칭하도록 한다.
◇손목
손목 터널증후군은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손목 부위에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과 신경이 지나가며, 이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일종의 관(터널)이 있다. 손목을 많이 사용하면 손목 터널에 염증이 생기거나 근육·인대가 붓고, 정중신경이 압박돼 저림, 통증 등과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 직업 특성상 키보드를 많이 사용하는 등 반복적으로 손목을 구부리고 펴는 사람일수록 발생하기 쉽다. 골절로 인한 손목 변형, 관절 탈구, 종양 등이 원인일 수도 있다.
손목 터널증후군이 있으면 손바닥·손가락·손목에 통증과 함께 저림, 감각 이상 등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끼거나 엄지 근육이 위축돼 납작하게 변하기도 한다.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병원을 방문해 신경타진 검사, 수근굴곡검사, 정중신경 압박검사 등을 받는 것이 좋다. 손목 터널증후군을 예방하려면 잘못된 자세를 고치는 것이 우선이다. 손목에 가벼운 증상이 나타난다면 무리하게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소염제 복용이나 스테로이드 주사에도 증상이 지속·악화한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할 수 있다.
◇발목
무리하게 발목을 사용할 경우 ‘발목 터널증후군’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발목 터널증후군은 주변 부위 외상, 발목 혹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목 터널이 좁아지고 신경이 압박받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발목을 자주 접질리는 경우 ▲하지정맥류,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질환에 의해 신경 주위가 섬유화되는 경우 ▲족부 변형이 생긴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발목 터널증후군은 주로 발목이나 발바닥에 증상이 나타나며, 발바닥 감각이 무뎌지거나 타는 듯한 작열감·따끔거림을 느낀다. 특히 평소 발 저림이 지속되거나 발목의 운동 범위가 많이 줄었다면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발목 터널증후군은 족저근막염 등 다른 발목 질환들과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발목 터널증후군은 약물치료, 운동 재활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증상이 완화되지 않거나 신경 압박이 심하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발목 터널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평소 발목을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는 게 중요하다. 만약 발목 통증이 느껴지면 운동을 자제하고 오래 걷는 것도 피하는 게 좋다.
◇팔꿈치
팔꿈치 터널증후군은 팔꿈치를 구부릴 때 팔꿈치 안쪽 작은 터널 부위를 지나는 척골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압박성 신경병증으로, ‘척골신경포착증후군’이나 ‘주관증후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팔꿈치와 손목, 손가락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저리는 증상이 생긴다. 손에 힘을 주는 것도 어려워진다. 팔꿈치 터널증후군은 손목과 손가락에도 증상이 나타나 손목 터널증후군과 헷갈릴 수 있지만, 팔꿈치 터널증후군은 통증이 주로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집중되는 특징을 보인다.
팔꿈치 터널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팔꿈치를 구부리는 자세를 피해야 한다. 턱을 괴거나 팔꿈치를 접어 베고 자는 습관은 고친다. 잦은 휴대전화 사용, 장시간 운전 등도 주의해야 한다. 평소 직업 등으로 인해 팔꿈치를 자주 구부린다면 주기적으로 스트레칭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