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펫
동물도 ‘명절 증후군’ 겪는다? … 반려동물과 행복한 추석 보내는 3가지 방법
김예경 기자
입력 2024/09/17 08:00
[멍멍냥냥]
▷명절 음식 주지 않기=명절 음식은 기름기가 많다. 반려동물이 먹으면 배탈, 구토.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심하게는 위장염, 췌장염 같은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밖에도 양파, 파, 마늘 등을 먹어 중독증상이 일어나거나 음식을 덥석 삼켜 고기 뼈나 꼬치의 이쑤시개까지 먹게 되는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반려동물이 명절 음식을 먹지 못하게 막는 것이다. 이미 음식을 먹어버렸다면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이럴 땐 동물병원에서 신속하게 검사를 받아야 한다.
▷반려동물 멀미 조심하기=만일 반려동물과 함께 장거리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반려동물의 멀미를 유의해야 한다. 반려동물 멀미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에 몸의 평형감각이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증상이다. 차를 타기 적어도 3시간 전에는 사료를 먹이지 말고 중간중간 정차해 배변을 해결하거나 물을 마시면서 쉴 수 있게 해줘야 한다. 차량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조용한 환경을 조성한다. 차량 온도가 덥거나 추운 경우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 멀미가 심하다면 동물병원에서 수의사와 상담 후 멀미약을 처방받을 수 있다.
▷낯선 사람들에게 적응할 시간 갖기=집으로 친척들이 방문한다면 반려동물이 낯선 사람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낯선 사람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반려동물을 불안하게 만들고, 결국 방어적 행동을 하게 만든다. 이럴 땐 평소보다 신경이 예민해져 있을 수 있으니 반려동물에게 무리하게 접근하지 않도록 하고 반려동물이 편히 쉴 수 있도록 혼자 지낼 수 있는 공간을 따로 마련해주는 것이 좋다. 반려동물과 친해지려고 한다면 간식을 주거나 장난감으로 놀아주면서 차근차근히 다가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