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다이어트에 좋다는 '이 식단'… "계속하면 노화 빨리 와"
이해나 기자 | 윤승현 인턴기자
입력 2024/09/04 05:00
지난 2일(현지 시각) 영국 매체 더 미러에 따르면 의학 박사 루피 아줄라가 본인의 팟캐스트 '의사의 주방(The Doctor's Kitchen)'에서 케토제닉 식단과 카니보어 식단의 위험성을 전했다. 케토제닉 식단은 총 섭취 열량 중 탄수화물 비율을 5~10%로 줄이고, 지방은 70~80%로 일반적인 식단보다 2배 이상 높이는 '저탄고지' 식사를 의미한다. 카니보어 식단은 육류와 동물성 식품만을 섭취하는 식이요법으로, 케토제닉 식단보다 더 극단적이다.
루피 박사는 "장기간 케토제닉, 카니보어 식단을 유지하면 염증과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며 "심장, 신장 같은 주요 장기에 노화된 세포가 축적돼 염증과 독성에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로 인해 노화돼 축적된 세포는 면역 체계에 의해 제거되지 않아 전신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육식 위주의 식단이 심장섬유증(심장의 섬유아세포에 단백질이 과도하게 쌓여 생기는 병)을 촉진하고 심혈관질환을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루피 박사는 "케토제닉, 카니보어 식단을 섭취하는 사람들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가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그는 이런 식단을 단기간 활용했을 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식이요법을 유지하고 싶다면 정기적으로 케토제닉 식단을 멈추는 기간을 가지는 게 좋다"고 했다.
카니보어 식단도 케토시스 상태를 만들어 체중을 감량하는 원리다. 식물성 식품 속 렉틴, 옥살산염 등이 유발하는 염증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겐 특히 효과적이다. 다만 특정 식품군을 완전히 배제하기 때문에 영양 결핍이 생길 수 있다. 육류와 생선, 달걀, 소량의 유제품 정도만 허용하기에 과일과 채소 속 비타민, 미네랄 등이 부족해진다. 장기간 유지하면 식이섬유가 부족해져 장내 미생물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동물성 식품을 과다하게 섭취해 콜레스테롤이 높아질 위험도 크다. 당장은 효과가 좋아 보일지 몰라도 무작정 시도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