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독감+코로나 복합 백신, 임상 3상서 실패 [팜NOW]

정준엽 기자

이미지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 중인 인플루엔자·코로나19 복합 백신 후보물질이 임상 3상에서 주요 목표를 100% 달성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화이자, 바이오엔테크 제공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 중인 mRNA(메신저 리보핵산) 기반 인플루엔자(독감)·코로나19 혼합 백신이 임상 3상 시험에서 일부 인플루엔자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면서 향후 개발에 숙제를 남겼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18~64세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의 혼합 mRNA 백신 후보물질을 평가하는 임상 3상 시험의 주요 결과를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혼합 백신 후보물질은 화이자의 mRNA 기반 인플루엔자 백신 후보물질과 양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로 구성됐다.

이 임상시험에서는 18~64세 건강한 성인 8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코로나19 혼합 백신 후보물질의 안전성, 내약성, 면역원성을 평가했다. 해당 복합 백신 후보물질은 기존에 허가된 인플루엔자 백신과 코로나19 백신을 동시 접종한 상황과 비교됐다.


임상 결과, 인플루엔자·코로나19 혼합 백신은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A형 균주에 대한 면역 반응을 입증하는 데 성공했지만, 인플루엔자 B형 균주에 대한 면역원성 기준은 충족하지 못했다. 임상에서 인플루엔자 B형 균주에 대한 기하평균역가(백신을 맞고 생긴 항체의 양)와 혈청전환율은 기존에 허가된 인플루엔자 백신보다 낮았다. 임상시험에서 별도의 안전성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화이자는 인플루엔자·코로나19 복합 백신 후보물질이 A형 독감과 코로나19에서 면역원성을 입증한 만큼, 현재 B형 인플루엔자에 대한 백신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조정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화이자 애널리사 앤더슨 백신연구개발 책임자는 "혼합 백신은 호흡기 질환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며 "당사는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혼합 프로그램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다음 단계를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바이오엔테크 우구르 사힌 최고경영자는 "이 임상시험에서 얻은 교훈은 인플루엔자·코로나19 혼합 백신 프로그램의 후속 개발을 진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