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성적 올리려’ ADHD 약 먹었다가는… 틱 장애, 환각 등 겪을 수도

오상훈 기자

ADHD 진료 인원 급증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서울, 부산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치료제가 집중력을 높여 공부에 도움이 되는 약으로 알려진 데 따른 것으로, 오남용에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이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10대 ADHD 진료 인원은 2021년 1만489명에서 지난해 1만7230명으로 64.3% 급증했다. 같은 기간 부산의 10대 ADHD 진료 인원은 3888명에서 6076명으로 56.3% 늘었고, 대구에서는 66.6% 증가했다.

ADHD 진료 청소년이 급증한 원인으로는 이들이 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 성분을 일명 ‘공부 잘하게 되는 약’, ‘집중력을 높이는 약’으로 여겨 복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ADHD는 주의력이 떨어지고 산만하며 충동 조절과 행동 통제가 안 되는 증상을 보이는데, 메틸페니데이트는 집중력과 각성을 높여준다.


메틸페니데이트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ADHD 진단이나 전문가와의 상의 없이 메틸페니데이트를 잘못 사용하면 두통, 불안, 틱 장애, 녹내장 등의 질환이 생길 수 있으며 드물지만 환각, 망상, 극단적 시도로도 이어질 수 있다. 메틸페니데이트 복용 후 성적이 오른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ADHD 환자라서 약의 효과를 본 것이다.

식약처 조사에 따르면 10대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환자는 2022년 6만8288명에서 지난해 8만6086명으로 26.1% 증가했다. 이와 관련 김대식 의원은 “ADHD 치료제는 의사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투약해야 하는 향정신성 의약품”이라며 “ADHD 환자에게는 신속한 처방이 있어야겠지만, 학부모와 수험생의 불안 심리로 약품이 오남용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한편,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ADHD 양상으로는 ▲집중력 장애로 인한 성적 저하 ▲학교 및 사회생활 부적응 ▲불안정한 친구 관계에서 오는 좌절감 ▲잦은 우울감 및 자존감 저하 등을 꼽을 수 있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