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장마철 꿉꿉해진 침구류, ‘이것’만 해줘도 보송해진다
이아라 기자
입력 2024/07/06 13:00
여름철에는 다른 계절보다 땀과 피지 분비가 많다. 따라서 맨살을 대고 사용하는 침구류는 세탁을 통한 청결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귀찮은 마음이 들어도 최소 2주에 한 번은 세탁할 것을 권장한다. 땀과 피지의 주요 성분인 염분과 지방을 잘 녹여 제대로 세탁하기 위해서는 온수로 세탁하는 게 좋다. 또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를 두세 숟가락 정도 넣어주면 이불 빨래의 악취와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세탁을 한 후에는 최대한 빨리 건조를 해줘야 한다. 세균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가장 좋은 것은 건조기나 제습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건조기가 없다면 신문지와 선풍기를 활용하면 된다. 건조대에 침구류를 널 때 충분히 간격을 두고 그 사이에 신문지를 널어 둔다. 바닥에도 신문지를 여러 겹 깔아 놓아 젖은 빨래의 수분 증발을 촉진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선풍기와 서큘레이터를 이용해 바람이 잘 통하는 환경을 조성해주면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장마철에는 습한 장롱 속 침구류도 잘 관리해야 한다. 장롱은 공기 순환이 어려워 여름철에는 습기에 더욱 취약하다. 장롱에는 잘 건조된 침구와 의류만을 보관하고, 장마철에는 가끔 장롱문을 열어 두거나 선풍기 바람을 씌어주어 수분을 날려준다. 제습기를 사용할 때도 장롱과 옷장의 문을 전부 열어두는 게 좋다. 칸마다 신문지를 깔아 놓고 제습제를 충분히 넣으면 장롱 안의 습도가 낮아져 곰팡이를 방지할 수 있다. 장롱 속에 넣어둔 제습제는 시간이 지나면 물이 차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