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니스
고소영, 집에서 수시로 '이 근육' 풀어준다 "시범도 보여"… 효과 얼마나 좋길래?
이해나 기자
입력 2024/06/11 10:55
[스타의 건강]
배우 고소영(51)이 늘 '장요근'을 풀어주는 습관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공개된 방송인 김나영의 유튜브 채널 '김나영의 nofilterTV'에 게재된 '춘천 고소영… 고소영 만나다! 고소영의 여행 그리고 인생 찐템 토크' 영상에서 고소영은 "운동 안 하다가 나이 50이 넘어가니 미운 살이 붙고, 혈액순환이 안 된다"며 "그렇다고 매일 마사지숍을 다닐 수 없으니 집에서 항상 TV를 틀어놓고 복부에 (장요근 풀어주는 마사지 도구를) 놓고 플랭크 자세를 취해 (장요근을) 눌러준다"고 말했다. 그는 "그럼 장요근이 풀리고 시원하다"고 말했다. 고소영은 집에서뿐 아니라 여행갈 때도 장요근을 풀어주는 마사지 도구를 가지고 다닌다고도 했다.
장요근은 장골근과 대요근을 함께 칭하는 용어로, 척추·골반을 하체와 이어주는 근육이다. 다리를 올리거나 허리를 구부리는 등 허리와 골반의 움직임을 담당하며 신체의 균형을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요근의 이완이 허리 통증을 약 3배 감소시킨다는 해외 연구 결과도 있다. 장요근은 골반과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기도 한다. 따라서 장요근이 과하게 긴장하고 수축되면 척추가 굽어지는 등 척추에 변형이 생기면서 허리 통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증상은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척추옆굽음증)과 같은 척추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직장인들은 특히 장요근이 과하게 긴장돼 허리 통증을 느끼기 쉽다. 특히 30~50대 직장인의 경우 오랜 시간 바르지 못한 자세와 장요근의 긴장으로 각종 척추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다.
엉덩이나 허리 주변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특히 장요근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고소영처럼 평소 장요근을 수시로 이완해주는 게 효과적이다. 다만, 도구 없이 스트레칭으로 장요근을 풀 수도 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무릎을 꿇고 허리를 편 채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딛는다. 이후 내디딘 쪽 무릎을 앞으로 밀어 장요근을 이완시켜 준다. 이때 상체는 최대한 일직선으로 유지한다. 15초간 자세를 유지하며, 각 다리마다 3회씩 총 3세트 진행한다.
지난 10일 공개된 방송인 김나영의 유튜브 채널 '김나영의 nofilterTV'에 게재된 '춘천 고소영… 고소영 만나다! 고소영의 여행 그리고 인생 찐템 토크' 영상에서 고소영은 "운동 안 하다가 나이 50이 넘어가니 미운 살이 붙고, 혈액순환이 안 된다"며 "그렇다고 매일 마사지숍을 다닐 수 없으니 집에서 항상 TV를 틀어놓고 복부에 (장요근 풀어주는 마사지 도구를) 놓고 플랭크 자세를 취해 (장요근을) 눌러준다"고 말했다. 그는 "그럼 장요근이 풀리고 시원하다"고 말했다. 고소영은 집에서뿐 아니라 여행갈 때도 장요근을 풀어주는 마사지 도구를 가지고 다닌다고도 했다.
장요근은 장골근과 대요근을 함께 칭하는 용어로, 척추·골반을 하체와 이어주는 근육이다. 다리를 올리거나 허리를 구부리는 등 허리와 골반의 움직임을 담당하며 신체의 균형을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요근의 이완이 허리 통증을 약 3배 감소시킨다는 해외 연구 결과도 있다. 장요근은 골반과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기도 한다. 따라서 장요근이 과하게 긴장하고 수축되면 척추가 굽어지는 등 척추에 변형이 생기면서 허리 통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증상은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척추옆굽음증)과 같은 척추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직장인들은 특히 장요근이 과하게 긴장돼 허리 통증을 느끼기 쉽다. 특히 30~50대 직장인의 경우 오랜 시간 바르지 못한 자세와 장요근의 긴장으로 각종 척추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다.
엉덩이나 허리 주변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특히 장요근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고소영처럼 평소 장요근을 수시로 이완해주는 게 효과적이다. 다만, 도구 없이 스트레칭으로 장요근을 풀 수도 있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무릎을 꿇고 허리를 편 채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딛는다. 이후 내디딘 쪽 무릎을 앞으로 밀어 장요근을 이완시켜 준다. 이때 상체는 최대한 일직선으로 유지한다. 15초간 자세를 유지하며, 각 다리마다 3회씩 총 3세트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