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하대병원이 운영하는 인천국제공항의료센터의 신호철 센터장이 에세이집 ‘공항으로 간 낭만 의사’를 발간했다. 국제공항 진료 현장에서 20여 년간 묵묵히 일해 온 의사가 그동안 경험하고 생각한 것들을 책으로 써 세상에 내놓았다.
인천국제공항은 조종사와 승무원 등 운항 관련 인력들부터 환경미화원, 하역노동자, 보안 요원 등 공항의 여러 시설과 시스템을 유지·관리하는 7만여 명의 근로자들이 상주한다. 공항터미널에 자리 잡은 노숙인들까지 합치면 수많은 사람이 들뜬 여행객들 사이에서 삶을 이어가는 일상의 터전이다.
인천국제공항의료센터는 여행객뿐 아니라 공항 식구 모두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료기관이다.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비상 의료 사태와 고도 10km 상공에서 운항 중인 항공기 내의 환자까지 관리한다. 노숙인도 예외는 아니다. 이에 신호철 센터장은 “출퇴근하면서 이 구역을 지날 때마다 노숙인들을 유심히 보곤 한다. 전과 비교해 행동이나 움직임에 특별한 이상 징후가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공항에 살다시피 하는 노숙인들은 건강에 문제가 생기면 어차피 공항 의료센터로 오게 된다. 그러니 나에겐 그들이 언젠가 진료실에서 만나게 될 예비 환자이기 때문이다”고 말한다.
오랜 세월 공항 사람들의 주치의 역할을 해 온 신호철 센터장은 이 책을 통해 공항을 떠받치는 사람들의 건강을 염려하고 노고를 응원하는 메시지를 보낸다. 그 바탕엔 터미널 노숙인들까지도 예비 환자로 보고 건강 상태를 예의주시하는 의사로서의 직업정신과 치료 약을 상복해야 하는 지병 환자로서 환자에게 갖게 된 동료의식이 있다.
신호철 센터장은 “공항 의사로서 20년 일하다 보니 공항이 어떤 사람에게는 삶의 종착지가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그것이 나의 부주의로부터 비롯돼서는 결코 안 된다는 비장한 긴장감을 갖게 됐다”며 “‘유 퀴즈 온 더 블록’ 방송에서 못다 말한 공항의 생로병사와 희로애락을 책에 남아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