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독도새우 줄기세포를 추출, 배양해서 만든 독도새우 배양육./사진출처=셀미트 제공
해양수산부가 올해부터 대체해조육·수산배양육 기술 개발을 새로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5년간 286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대체해조육은 해조류, 미세조류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로 육고기와 흡사하게 제조한 식품을 말하고, 수산배양육은 어류·패류·갑각류 등 수산 동물에서 유래한 조직이나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만든 식품이다.


해수부는 해당 기술 개발 사업자로 4개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했다. 대체해조육 연구 사업자로 선정된 인테이크 등 9개 공동연구기관은 미역, 다시마 등을 활용한 어묵과 소시지를 개발한다. 국립부경대 산학협력단 등 8개 공동연구기관은 클로렐라, 스피룰리나를 활용한 연어 제품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수산배양육 연구 사업자로 선정된 강릉원주대 산학협력단 등 7개 기관은 참다랑어, 랍스터 등의 세포를 배양한 밀키트를 개발하고 이화여자대 산학협력단 등 10개 기관은 능성어, 대하 등의 세포를 배양해 구이 제품을 개발한다.

해수부 강도형 장관은 "대체해조육과 수산배양육 기술 개발은 수산식품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차세대 수산식품 개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전통 수산업과 최신 생명공학기술을 융합한 신산업을 육성하고, 세계 대체·배양 수산식품시장 선점을 위한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