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사망의 5분의 1은 식습관 때문… 건강하게 먹고 있는지 알려면?

이슬비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식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더 무시무시하다. 식습관으로 전 세계에서 매년 1100만명이 조기 사망하고 있을 정도다. 건강하려면 무엇보다 NQ(영양지수)를 높여야 한다.

의학저널 랜싯에 실린 한 연구에서 식습관이 조기 사망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전 세계에서 매년 발생하는 사망의 5분의 1(약 1100만명)이 식습관과 연관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망 위험을 높이는 식습관은 소금 과다 섭취, 통곡물·과일·견과류·채소·해산물·식이섬유 섭취 부족 등이었다. 연구를 진행한 미국 워싱턴대 크리스터포 머레이 교수팀은 "식습관이 전 세계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며 "비만이든 아니든, 현재 건강하든 아니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자신이 건강한 식습관을 잘 실천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지난 2022년 개발한 '영양지수(NQ)'를 확인해 보면 된다. NQ는 식사행동, 식사의 질 그리고 영양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화한 지표다. '식약처 영양지수 프로그램'을 포털에 검색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약 20문항의 설문지(영양지수 체크리스트) 응답에 따라 영양지수가 바로 자동 계산된다. 최근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령별 영양지수 평균과 비교해 ▲양호(상위 25% 이상) ▲개선 필요 ▲개선 시급(하위 25% 미만)으로 평가 후, 개선 필요나 시급이라면 그에 맞춰 건강한 식생활 요령과 맞춤형 권장처방전이 제시된다.



이미지

성인(만19~64세) NQ지수 확인 체크리스트./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NQ 프로그램은 ▲취학 전 어린이(만3~5세) ▲학령기 어린이(만6~11세) ▲청소년(만12~18세) ▲성인(만19~64세) ▲노인(만65세 이상) 등 연령대로 분류해 구성돼 있다. 체크리스트는 다시 ▲균형 ▲절제 ▲실천 등 3가지 영역으로 나뉜다. 균형 영역에서는 필요한 식품을 얼마나 골고루 먹는지 확인하고, 절제 영역에서는 건강에 좋지 않은 식품을 얼마나 적게 먹는지를 묻고, 실천 영역에서는 건강하고 안전한 식행동을 실제로 실천하는지를 점검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