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간헐적 단식하면 '사망 위험' 높아지는 사람은…
최지우 기자
입력 2024/03/20 00:01
간헐적 단식은 하루 4~12시간 내로 일일 섭취 시간을 제한하는 식사법이다. 8시간 동안 음식을 섭취하고 나머지 16시간 동안 단식하는 16:8 식사법이 대중적이다. 신진대사나 체중 관리 및 전반적인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많아 하나의 건강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그런데 최근, 음식 섭취 시간을 제한하는 간헐적 단식이 장기적으로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심장 협회 연구팀이 2003~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성인 2만78명을 최대 17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분석 결과, 하루 8시간 미만으로 음식 섭취를 제한한 사람들은 일반적인 식사(하루 12~16시간 식사)를 한 사람보다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91% 더 높았다.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증가는 암 환자나 심혈관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암 환자나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간헐적 단식과 사망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빅토르 원제중 박사는 “지난 몇 년 간 간헐적 단식은 체중 감량과 심장 건강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은 알려진 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연구 결과는 간헐적 단식은 단기적인 건강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단, 이 연구 결과를 간헐적 단식이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유발했다는 결론으로 단정 지어서는 안 된다. 위 연구는 참여자들의 자가 보고된 식이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식습관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추후 시간 제한 식사와 심혈관질환 부작용 사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하는 생물학적 기전을 분석하고 다른 모집단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지 추가 분석할 예정이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American Heart Association New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