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대웅제약 신약 ‘엔블로’, 신장질환 당뇨병 환자 혈당 강하 효과 확인

전종보 기자

이미지

엔블로정 / 대웅제약 제공
대웅제약은 경증 신장질환을 가진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웅제약 ‘엔블로’와 글로벌 제약사 ‘다파글리플로진’의 투약 효과 비교 연구에서 엔블로의 혈당 강하 효과가 더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엔블로는 대웅제약이 개발한 SGLT-2 억제제 기전 당뇨병 치료제다. 기존 SGLT-2 억제제 대비 ▲0.3mg 적은 용량으로 위약 대비 약 1% 당화혈색소 감소 ▲약 70%의 높은 목표혈당 달성률 ▲심혈관 위험인자(체중, 혈압, 지질) 개선 ▲한국인 대상 풍부한 임상자료 등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번 연구에서는 2형 당뇨병 환자 470명을 신장 기능 등에 따라 분류한 후, 24주간 엔블로와 다파글리플로진 복용군의 당화혈색소, 공복혈당을 측정했다. 이들은 다른 성분의 당뇨병 치료제 메트포르민 병용요법 또는 메트포르민과 제미글립틴(DPP-4 억제제) 병용요법에도 혈당 조절이 어려운 2형 당뇨병 환자들이었다.

연구 결과, 엔블로는 ▲당화혈색소 ▲공복혈당 ▲당 배출 양(UGCR) ▲인슐린저항성(HOMA-IR) 4가지 지표 모두 다파글리플로진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엔블로를 복용한 환자는 공복혈당이 6주차에 26.65mg/dl, 24주차에 28.54mg/dl 떨어졌다. 반면 다파글리플로진은 공복혈당을 6주차에 21.54mg/dl, 24주차에 23.52mg/dl 낮췄다. 엔블로를 복용한 환자들은 6주차부터 당화혈색소가 0.76% 포인트 떨어졌고, 24주차에는 0.94% 포인트까지 떨어졌다. 다파글리플로진 복용군의 경우 6주차 0.66% 포인트, 24주차 0.77% 포인트 낮추는데 그쳤다.

엔블로와 다파글리플로진은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로 당을 소변으로 직접 배출시켜 혈당을 조절한다. 따라서 당 배출량으로 두 약의 효능을 비교할 수 있다. 다만 신장질환을 앓고 있는 당뇨병 환자는 SGLT-2 억제제 복용 효과가 떨어져 당 배출량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엔블로를 복용한 환자들은 ‘소변 포도당 크레아티닌 비율’이 6주차부터 24주차까지 약 55g/g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신장 기능이 정상인 당뇨병 환자와 유사한 결과다. 반면, 다파글리플로진을 복용한 환자들은 ‘소변 포도당 크레아티닌 비율’이 24주차까지 약 42g/g 수준에 머물렀다. 이밖에 인슐린 저항성을 평가하는 HOMA-IR도 엔블로가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면 혈당조절 능력이 향상되고 대사질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대웅제약은 연구 대상을 중증, 중등증 신장질환 당뇨병 환자로 확대해 추가 임상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대웅제약 이창재 대표는 “국내 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새로운 약을 처방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임상 근거를 제공했다”며 “엔블로가 대안이 될 수 있는 추가 근거를 확보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번 논문의 이름은 ‘신장 기능에 따른 2형 당뇨병 환자 대상 이나보글리플로진 대 다파글리플로진의 병용 요법 효과 및 안전성: 두가지 무작위 대조 시험의 통합 분석’이다. 해당 논문은 SCIE에 등재된 국제 학술지 ‘심혈관 당뇨학’에 게재됐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