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의대 교수도 파업 동참하나…"학생 없으면 존재 의미 없어"

이금숙 기자

이미지

뉴스1 제공
집단 휴학을 한 의대생들의 유급이 현실화되고, 병원을 떠난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이 시작되면서 의대 교수들 사이에서 '자발적 사직'이나 '겸직 해제' 등의 대응 방안에 대한 목소리가 나왔다.

집단 휴학을 신청한 의대생들이 이달 중순이 지나면 유급될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의대 교수들의 논의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오는 14일 회의를 열어 의대생들의 집단휴학과 전공의 미복귀 사태 등에 대해 논의한다.

전의교협은 이달 안에 의대생 휴학 사태를 해결해야만 학생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교육부 방침으로 휴학이 승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대생들이 수업 거부를 지속하면 수업일수 부족 등으로 '집단 유급'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급이 되면 의대생들은 시간적인 손해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손실을 본다. 휴학과 달리 '유급'은 등록금을 한 푼도 돌려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사태의 해결을 위한 빠른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지속해서 나오고 있다.


전국 40개 의대 중 수업 거부에 들어간 의대는 10곳이며, 나머지 30곳은 학생들의 동맹휴학 등으로 인해 아예 개강을 늦췄다.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은 "의대 교수의 책무는 환자 진료와 학생 교육 등 두 가지"라며 "학생들이 없으면 교수들이 존재할 의미도 없기 때문에 상황이 심각하다"고 말했다.

의대 교수들의 집단 행동 가능성도 내비쳤다. 김 회장은 "정부를 상대로 집단행동을 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크지만, 아직은 결정하지 않았다"며 "의대생의 유급이 현실화하고 전공의가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교수들 사이에서 '자발적 사직'이나 '겸직 해제' 등이 확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의대 교수들은 학생들에 대한 강의와 더불어 대학병원 등에서 진료를 '겸임'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겸임을 해제해 진료를 맡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다.

한편, 전의교협과는 별개로 서울의 '빅5'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두고 있는 의대 교수들도 각각 회의 일정을 잡으며 현 사태에 대해 논의한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