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피 속 카페인이 약의 흡수를 방해해 '커피와 약'을 함께 먹으면 안 좋다는 사실은 잘 알려졌다. 따라서 커피를 마셨다면 카페인이 체내로 들어와 밖으로 배출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인 두 시간 뒤에 약을 복용하는 게 좋다. 그렇다면 일반 커피가 아닌 디카페인 커피는 마셔도 괜찮을까?
디카페인 커피도 약을 먹은 직후이거나 약을 먹는 중에는 마시지 않는 게 좋다. 커피 속 폴리페놀과 탄닌 성분도 약 흡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디카페인은 커피에서 카페인을 분리해 만든 음료다. 하지만 커피 원두에 있던 폴리페논과 탄닌 성분은 그대로 남아있다. 일반의약품연구회 오인석 회장(약사)은 "폴리페놀과 탄닌은 약물과 구조적으로 결합해 신체에 흡수되는 걸 방해한다"며 "특히 항생제나 결핵약과 함께 먹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디카페인 커피라고 해서 카페인 함유량이 0%도 아니다. 2021년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 따르면 한국에선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제거하면 '디카페인(탈카페인)'으로 표기할 수 있다. 97% 제거돼야 디카페인으로 인정하는 국제 기준과, 99%가 제거돼야 디카페인이라 할 수 있는 유럽연합(EU) 기준에 비하면 느슨한 편이다. 지난해 3~11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경기도 내 카페의 디카페인 제조음료 커피 40건의 카페인 함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 18.59mg/L 함유된 것으로 확인됐다. 체내 카페인 대사는 간의 효소인 'CYP1A2'가 맡는다. 하지만 CYP1A2는 아세트아미노펜, 안티피린, 클로미프라민, 와파린 등 다양한 약 성분도 대사시킨다. 약을 먹는 사람이 커피를 마셔 CYP1A2가 카페인 대사에 집중하게 되면 약 성분의 대사율이 감소하게 되고 혈중 농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다. 커피뿐 아니라 ▲에너지 음료 ▲녹차 ▲아이스티 ▲콜라 도 카페인이 들어있어 약과 함께 먹으면 안 된다.
오인석 약사는 "커피, 디카페인 커피뿐 아니라 약과 함께 우유, 주스를 마시는 경우도 있는데 옳지 않은 행위"며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약을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디카페인 커피도 약을 먹은 직후이거나 약을 먹는 중에는 마시지 않는 게 좋다. 커피 속 폴리페놀과 탄닌 성분도 약 흡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디카페인은 커피에서 카페인을 분리해 만든 음료다. 하지만 커피 원두에 있던 폴리페논과 탄닌 성분은 그대로 남아있다. 일반의약품연구회 오인석 회장(약사)은 "폴리페놀과 탄닌은 약물과 구조적으로 결합해 신체에 흡수되는 걸 방해한다"며 "특히 항생제나 결핵약과 함께 먹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디카페인 커피라고 해서 카페인 함유량이 0%도 아니다. 2021년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 따르면 한국에선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제거하면 '디카페인(탈카페인)'으로 표기할 수 있다. 97% 제거돼야 디카페인으로 인정하는 국제 기준과, 99%가 제거돼야 디카페인이라 할 수 있는 유럽연합(EU) 기준에 비하면 느슨한 편이다. 지난해 3~11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경기도 내 카페의 디카페인 제조음료 커피 40건의 카페인 함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 18.59mg/L 함유된 것으로 확인됐다. 체내 카페인 대사는 간의 효소인 'CYP1A2'가 맡는다. 하지만 CYP1A2는 아세트아미노펜, 안티피린, 클로미프라민, 와파린 등 다양한 약 성분도 대사시킨다. 약을 먹는 사람이 커피를 마셔 CYP1A2가 카페인 대사에 집중하게 되면 약 성분의 대사율이 감소하게 되고 혈중 농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다. 커피뿐 아니라 ▲에너지 음료 ▲녹차 ▲아이스티 ▲콜라 도 카페인이 들어있어 약과 함께 먹으면 안 된다.
오인석 약사는 "커피, 디카페인 커피뿐 아니라 약과 함께 우유, 주스를 마시는 경우도 있는데 옳지 않은 행위"며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약을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