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부모표 이유식도 안전하지 않다… ○○○ 검출

이슬비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영유아를 키우는 부모는 먹는 것 하나를 고를 때도 심혈을 기울이게 된다. 당장 생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물질이라도, 앞으로 성장할 때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유식도 더 확실하게 건강한 음식을 먹이고 싶은 마음에 직접 만드는 부모가 많다. 그러나 부모표 이유식 속에도 중금속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히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엄격한 기준에 맞춰 생산되고 있는 시판 이유식이 나을 수 있다.

순천향대 환경보건학과 박정임 교수 연구팀은 부모가 직접 집에서 조리한 이유식으로도 영유아가 중금속에 노출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생후 6개월부터 27개월까지 영유아 157명이 섭취한 이유식 샘플 288개의 납과 수은 농도를 측정했다. 이 샘플은 모두 부모가 직접 만든 것이었다.

중금속인 납, 수은 등은 인체에 축적되면 피부염, 각막염, 중추신경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아직 성장 중인 영유아들에겐 정상적인 발달도 방해할 수 있다. 실제로 영유아를 포함한 어린이들에게는 중금속 축적이 신경발달 장애, 성장 지연,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이 각종 연구로 입증됐다.

분석 결과, 이유식 샘플 중 납은 65%, 수은은 88%에서 검출됐다. 납은 최대 검출량이 169ng/g에 달했다. 절반 이상인 58%는 시판 이유식 기준인 10ng/g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 대상 영유아는 하루 평균 약 0.29㎍/㎏의 납을 섭취하고 있던 것. 신경독성을 근거로 설정된 독성 참고값 0.50㎍/㎏보다는 낮은 수치지만, 안전한 수준은 아니다. 수은은 전체 이유식의 6%에서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주간 허용 섭취량 4㎍/㎏ 대비 위험 지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정임 교수는 "중금속이나 미량원소들은 의도적으로 식품에 첨가되는 게 아니라 주요 환경 오염물질로 토양, 수질, 대기 등에 널리 분포돼 있다가 이런 환경에서 자라는 식재료들을 오염시키게 된다"며 "그렇기에 특정 목적을 가지고 첨가되는 프탈레이트, 살충제, 농약 등과 달리, 개인의 노력으로 노출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어 국가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

연구에 참여한 순천향대 환경보건학과 이아람 박사는 "이유식을 만들 때 사용하는 제한된 식재료로도 중금속이 유입될 수 있음을 보여준 연구"라며 "이보다 먹거리가 다양해지는 연령대에서는 중금속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클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최신호에 게재됐다.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