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쎌바이오텍은 2023년 매출액 538억원, 영업이익 22억원, 당기순이익 66억원을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6.5%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63.6%, 19.9% 감소했다. 회사 측은 “유산균 시장이 정체되는 어려운 시장 환경에서도 해외 수출 증가로 매출액은 확대됐으마, 마케팅 비용 확대로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쎌바이오텍의 해외 수출액은 전년 대비 12% 성장세를 기록했다. 유럽시장 매출이 성장을 견인했으며, 아시아 시장 또한 뒷받침됐다. 쎌바이오텍이 개발한 ‘한국산 유산균’은 현재 유산균 본고장인 덴마크를 포함한 전 세계 40여 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쎌바이오텍 관계자는 “2023년은 불안정한 국제정세와 경기침체로 어려운 시기였지만, 해외 수출액의 꾸준한 증가를 이끌었다”며 “새로 선보인 듀오랩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24년은 외형뿐 아니라 수익성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축적한 연구기술력을 바탕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확대를 동시에 추진할 것이다”고 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6.5%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63.6%, 19.9% 감소했다. 회사 측은 “유산균 시장이 정체되는 어려운 시장 환경에서도 해외 수출 증가로 매출액은 확대됐으마, 마케팅 비용 확대로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쎌바이오텍의 해외 수출액은 전년 대비 12% 성장세를 기록했다. 유럽시장 매출이 성장을 견인했으며, 아시아 시장 또한 뒷받침됐다. 쎌바이오텍이 개발한 ‘한국산 유산균’은 현재 유산균 본고장인 덴마크를 포함한 전 세계 40여 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쎌바이오텍 관계자는 “2023년은 불안정한 국제정세와 경기침체로 어려운 시기였지만, 해외 수출액의 꾸준한 증가를 이끌었다”며 “새로 선보인 듀오랩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24년은 외형뿐 아니라 수익성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축적한 연구기술력을 바탕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확대를 동시에 추진할 것이다”고 했다.